의학·과학 과학

인공위성에서 지상으로 '초고속 광통신'

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11.16 17:53

수정 2021.11.16 17:53

DGIST 새로운 광 스위치 개발
광섬유 없이 데이터 전송 가능
DGIST 로봇공학전공 한상윤 교수(왼쪽)와 김동욱 박사과정생(가운데), 홍명석 기초학부생이 공기중에서도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DGIST 제공
DGIST 로봇공학전공 한상윤 교수(왼쪽)와 김동욱 박사과정생(가운데), 홍명석 기초학부생이 공기중에서도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DGIST 제공
광섬유 없이 공기중에서도 초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광스위치가 개발됐다. 이 광스위치를 이용하면 우주에서도 광통신이 가능하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로봇공학전공 한상윤 교수·한국과학기술원(KAIST) 유경식 교수 공동연구팀이 새로운 광 스위치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진은 이 기술로 자율 주행차, 드론 등의 이동체와 초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할 뿐만아니라 인공위성과 지상 간의 초고속 광통신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번에 개발한 광스위치는 원하는 파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소재인 푸리에 렌즈에 기반해 기존의 시스템보다 더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 근적외선 신호를 다양한 각도로 동시다발적으로 송출이 가능해 자유공간상 통신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연구진은 라이다, 광통신, 우주 광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광학 스위치는 DGIST 한상윤 교수팀이 이전에 개발한 실리콘 포토닉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 기반의 기술로 만들어졌다. 연구진은 이 방식을 사용하면 광 반도체의 전력 소모를 기존 방식인 열 광학 방식에 비해 1000분의 1 이상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상윤 교수는 "현재 파운드리 기술로도 충분히 생산은 가능하지만 상용화, 제품화를 위해서 소자와 푸리에 렌즈를 결합한 제품을 어떤 식으로 만들 수 있을지와 같은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DGIST의 학생들을 중심으로 DGIST-KAIST간의 협업을 통해 이루어낸 성과이다.
한상윤 교수 연구실의 김동욱, 홍명석학생이 주도적으로 연구하였고, DGIST의 한상윤 교수와 KAIST의 유경식 교수가 공동교신저자로 참여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