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펀드·채권·IB

시황 상관없이 꾸준한 성과… 25개 롱숏펀드 중 최고 [이런 펀드 어때요?]

강구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12.19 18:00

수정 2021.12.19 18:00

신한코리아롱숏증권자투자신탁
최근 7년 코스피 변동성 17%
펀드 변동성은 5.8%에 그쳐
유연한 포트폴리오로 하락 방어
시황 상관없이 꾸준한 성과… 25개 롱숏펀드 중 최고 [이런 펀드 어때요?]
신한코리아롱숏증권자투자신탁[주식]은 주식시장 상황과 관계 없이 꾸준한 성과를 기대하기 원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하다. 주가가 상승 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식은 매수하고 하락이 예상되는 기업의 주식을 빌려 매도해 성과를 내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롱온리(사기만 하는 전략) 펀드 대비 포트폴리오 운용 측면에서 유연성이 높다는 평가다.

■변동성 관리로 수익 창출

1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8일 기준 신한자산운용이 운용하는 신한코리아롱숏펀드의 1년 수익률은 24.9%에 달한다. 기간별로 1개월 3.67%, 3개월 10.62%, 6개월 18.73%, 2년 42.36%, 3년 42.39%, 5년 56.58%다. 설정 이후 기준으로는 시중 25개 롱숏펀드 중 가장 높은 72.16%를 기록했다.


이같은 수익률은 변동성 관리의 힘이다. 지난 2014년 2월 27일부터 2021년 11월 11일까지 코스피의 변동성은 17.07%에 달했다. 그러나 이 펀드의 변동성은 A클래스를 기준으로 5.85%에 그쳤다.

시장 투자기회를 통한 모멘텀(상승동력)은 꾸준히 가져가면서도 숏(매도)포지션과 방어주 포지션을 통해 변동성을 낮춘 결과다. 상승장에서 수익을 내고, 하락장에서 방어 할 수 있는 전략이다.

같은 기간 펀드 수익률이 50.72%로 코스피 48.42%를 제친 것이 이 전략의 효과를 입증한다. 펀드에서 투자할 수 있는 주식 순비중(매수포지션 비중에서 매도포지션을 차감한 값)은 평균20%, 최대 50% 이하로 유지하고 있다.

실제 코로나19가 본격 시작된 2020년 4월에는 중국 소비주 숏포지션을 통해 리스크를 방어했다. 2020년 11월 미국 대선 전에는 변동성 관리를 위해 순포지션을 축소했다.

올해 8월부터는 변동성을 낮게 유지하고, 모멘텀 투자를 할 수 있는 중소형 알파 전략을 실행했다. 콘텐츠, 메타버스, NFT(대체불가능토큰) 관련 주식은 물론 리츠(부동산투자회사), 배당주를 편입했다. 매수한 콘텐츠 주식으로는 NEW, 덱스터, SBS 등이 있다. 메타버스 및 NFT 관련 매수 주식으로는 하이브, 에스엠, 자이언트스탭, 위메이드 등이 있다.

올해 7월 2일부터 9월 1일까지 카카오게임즈, 크래프톤은 롱(매수) 전략으로 접근했다. 같은 기간 엔씨소프트는 숏 전략으로 접근했다.

11월에는 콘텐츠를 비롯한 메타버스 관련 비중을 축소했다. 대형 IT와 방어주 성격의 배당주와 리츠의 비중을 확대했다. 연말 대주주 과세 이슈 등이 해소되는 시점 이후에 투자할 수 있는 기업들에 대한 리서치에 집중하고 있다.

이정순 신한자산운용 헤지펀드운용팀장은 "지수선물이나 인버스 ETF(상장지수펀드)를 활용해 시장리스크를 헤지하고 동시에 방어주를 편입함으로써 전체적인 포트폴리오 베타를 유연하게 조정하고 있다"며 "지수가 하락하는 구간에서는 포지션을 축소하거나 일부 차입매도 전략을 통해 수익률을 최대한 방어하는 리스크 또한 철저하게 관리한다"고 밝혔다.

이어 "올해 상반기에는 IT, 자동차 등 대형주 섹터, 하반기에는 이차전지 소재주와 한국 컨텐츠를 필두로 메타버스 관련 기업에 선제적으로 투자함으로써 양호한 성과를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개인투자자 비중 증가에 변동성 높아져

이 팀장은 최근 국내 주식시장에서 개인투자자들의 비중 증가에 변동성이 커졌다고 보고 있다. 기존의 특정한 스타일 또는 테마에 대한 투자기간이 과거 대비 매우 짧아졌다는 분석이다.


그는 "이러한 변화로 인해 액티브 펀드간의 성과 차이가 커질 것"이라며 "장기간의 운용 경험을 바탕으로 최대한 유연하게 대응함으로써 목표수익률을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이 팀장이 제시한 내년 코스피 밴드는 2800~3200포인트다.
미국의 양적완화 종료 이후 정책금리 인상 시점, 기업의 내년 실적성장률 둔화 우려, 국내 대선 이후 정책변화 등을 고려해야 할 요인으로 꼽았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