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

정치권, 尹 '용산 이전'에 엇갈린 반응.."졸속"vs"제왕 종식"

전민경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3.20 16:10

수정 2022.03.20 16:10

민주 "국민의 뜻 무시한 당선인의 횡포"
국힘 "제왕적 대통령 권한 포기하는 것"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한국금융연수원 별관에 마련된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2.3.20/뉴스1 © News1 국회사진취재단 /사진=뉴스1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한국금융연수원 별관에 마련된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2.3.20/뉴스1 © News1 국회사진취재단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용산 대통령 시대'를 공식화하자, 정치권에선 여야가 찬반 의견을 주고받으며 거세게 충돌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 뜻을 깡그리 무시한 당선인의 횡포"라며 즉각 철회를 주장했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제왕적 대통령의 권한을 포기하겠다는 당선인의 의지"라며 방어전을 폈다.

민주당은 용산 이전이 법률상으로도, 예산상으로도 불가능한 일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윤호중 공동비대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황금같은 시간을 사무실 문제, 살림집 문제로 허비해야 하는가"라며 "국가적으로 대단히 불행한 일"이라고 날을 세웠다.

그는 용산 이전의 결정 과정이 졸속·불통이며, 국가안보에 커다란 구멍이 생길 것이고, 서울시민의 재산권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국정 혼란과 안보 공백이 우려된다는 것이다. 특히 "국민의 뜻을 깡그리 무시한 당선인의 횡포"라며 "안보 공백이 없다는 윤 당선인의 주장은 한 마디로 거짓말"이라고 질타했다.

민주당은 이전 비용이 총 1조원대에 이를 것이라는 문제제기에 대해서도 윤 당선인측의 명확한 해명이 없다고 쏘아붙이고 있다. 같은당 채이배 의원은 "취임 후 추경을 하면 모를까 (집무실 이전에) 다른 예산을 사용하면 불법"이라는 목소리도 냈다. 정의당도 "제왕적 대통령 시대를 끝내고 국민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취지에 공감한다"면서도 "충분한 협의와 대책 없는 졸속 발표"라며 민주당과 뜻을 함께 했다.

국민의힘은 윤 당선인의 용산 이전 결심에 당위성을 부여하며 맞섰다.

윤 당선인의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권성동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청와대 해체 공약은 갑자기 나온 것이 아니다.
이미 몇 달 전부터 과거 청와대에서 근무했던 참모들의 제안과 제왕적 대통령 시대를 종식하겠다는 윤석열 후보의 결단이 합쳐져서 나온 핵심 공약"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권 의원은 "문재인 대통령께서도 청와대 비서실장을 하시며 이러한 문제를 잘 알고 계셨기 때문에 본인의 대선 공약으로 채택하셨던 것"이라며 "청와대 해체 공약은 당선인이 권력의 속성을 정확히 파악했기 때문에 내놓은 공약"이라고 설명했다.


이준석 대표도 전날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를 이전해서) 다른 사람들과 더 많이 소통하고 일반 시민들과 가까운 위치에 계셨다면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아닌 윤석열 전 검찰총장(현 당선인)이 옳았다는 것을 더 일찍 아실 수 있으셨을 것"이라고 꼬집으며 여권의 비판을 차단했다.

ming@fnnews.com 전민경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