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주가 하락하는 애플 "中의존 탈피"... 인도·베트남으로 생산 거점 분산

송경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5.22 18:08

수정 2022.05.22 18:08

中하청업체 애플 제품 90% 생산
애플이 중국 생산 비중을 축소하는 방안을 하청업체들에게 통보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 베이징 소재 애플 매장. AP뉴시스
애플이 중국 생산 비중을 축소하는 방안을 하청업체들에게 통보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 베이징 소재 애플 매장. AP뉴시스
애플이 현재 90%가 넘는 중국 생산 비중을 축소하고 인도, 베트남 등으로 생산을 분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1일(현지시간) 소식통들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애플은 중국의 엄격한 코로나19 방역에 따른 봉쇄 등을 이유로 중국 이외 지역에서 생산을 확대하려 하고 있다고 하청업체들에 통보한 상태다. 중국을 대체해 생산 확대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은 곳은 인도와 베트남이다.
이 지역에는 이미 애플 조립 공장이 들어서 있다.

현재 중국은 애플 생산의 핵심 기지다.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애플 제품 90% 이상이 중국에서 하청 형태로 생산된다. 그러나 오미크론 변이 확산 속에 중국이 상하이 등을 한 달 넘게 봉쇄하면서 애플의 생산에 심각한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애플 주가 하락 배경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애플은 게다가 장기적인 위험때문에라도 중국 생산 비중 축소가 불가피하기도 하다. 미국과 중국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어 애플이 언제 된서리를 맞을지 모른다. 애플이 중국 비중을 축소하는 움직임이 본격화하면 이는 다른 서방 기업들의 이탈이라는 연쇄 작용을 불러올 가능성도 있다.

시진핑 국가주석 연임으로 중국의 시장 통제 움직임이 강화되는 것에 대한 잠재된 불안이 수면 위로 부상하면서 현재 생산과 원자재를 중국에 대부분 의존하고 있는 서방 기업들의 생각이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 사업이 갖는 위험성은 올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현실성이 더 높아졌다. 중국은 러시아 제재 대열에 합류하기를 거부하면서 서방과 관계가 더 껄끄러워졌다.

아울러 상하이, 베이징 봉쇄에서 보듯 공산당 1당 독재 국가 중국이 보편적 판단과 다른 공산당 입맛에 맞는 정책을 언제든 동원할 수 있다는 불안감도 높아지고 있다.

소식통에 따르면 애플은 코로나19 팬데믹이 확산된 2020년 초반 이전에 이미 중국 비중 축소를 계획해왔다.

그러나 팬데믹으로 각국이 봉쇄에 들어가면서 계획 실행은 무산됐다. 소식통들은 이제 팬데믹이 잠잠해지고 일상생활 복귀에 탄력이 붙으면서 애플이 다시 이 계획을 꺼냈다고 전했다.

애플은 중국의 강력한 팬데믹 정책으로 생산에 상당한 차질을 빚고 있다.

본사 경영진, 기술자들이 지난 2년간 중국 땅을 밟을 수가 없었다. 생산 현장 상황에 대한 점검이 불가능하다.

지난해에는 단전으로 중국의 안정적인 생산 가능성에 대한 신뢰에도 금이 갔다. 공급망을 옮기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하청업체들이 따르지 않으면 계획 실행이 어렵다. 그러나 TF인터내셔널증권의 궈밍치 애널리스트는 애플이 압도적 규모를 바탕으로 공급망 하청 업체들을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 수 있는 힘을 갖고 있다면서 애플 같은 업체만이 가능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애플이 중국을 버릴 수 없는, 중국을 생산허브로 삼아야 하는 이유들은 여전하다. 잘 훈련된 노동력,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인건비, 탄탄하고 깊은 부품 공급망 등 중국을 매력적인 생산허브로 만드는 장점들이 훼손되지 않았다.

중국 이외 지역에서 이같은 조건을 만족하려면 수년간 공을 들여야 한다.
또 중국이 애플 최대 판매 시장 가운데 하나라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중국내에서 생산해 중국내에서 판매하면 어떤 무역장벽도 건너 뛸 수 있다.
중국은 애플 전세계 매출의 약 20%를 차지하는 핵심 시장이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