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치킨 한 마리 중량이 왜 이렇게 달라?..네네 1234g, 교촌은 625g

문영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11.16 08:14

수정 2022.11.16 10:01

후라이드 치킨.
후라이드 치킨.

[파이낸셜뉴스] 치킨 주요 프랜차이즈 브랜드와 맛에 따라 제품별 중량 차이가 최대 두 배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소비자원은 지난 15일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프랜차이즈 치킨 10개 브랜드 치킨의 간장·마늘맛, 매운맛, 치즈맛 등 3가지 맛 24개 제품을 대상으로 중량과 영양성분을 비교해 발표했다.

자료=한국소비자원
자료=한국소비자원


먼저 양이 가장 적은 치킨은 간장·마늘맛 제품인 교촌치킨의 '교촌 오리지날'로 나타났다. 교촌 오리지날 한 마리의 중량은 625g으로, 전체 치킨 평균(879g)보다 250g 이상 낮았다. 호식이두마리치킨의 간장치킨이 679g으로 뒤를 이었다.

반대로 양이 가장 많은 치킨은 네네치킨의 '쇼킹핫치킨'으로, 한 마리에 1234g에 달했다.
양이 가장 적은 치킨과 많은 치킨 간 중량 차이가 2배 가까이 났다. 브랜드마다 사용하는 닭의 크기, 양념·조리시간·튀김옷 두께 등에 따라 무게 차이가 달라졌다. 예컨대 호식이두마리치킨은 9호(851~950g) 닭을, 노랑통닭은 12호(1151~1250g) 닭을 사용한다.

뼈를 제거하고 실제 먹을 수 있는 '가식부' 중량은 평균 736g으로 집계됐다. 전체 제품에서 가식부 중량의 비율은 전체의 79~88%로 브랜드별 편차는 크지 않았다고 소비자원은 설명했다. 브랜드별 가식부 중량이 가장 많은 제품과 적은 제품도 중량 기준 최대·최소 제품과 동일했다.

소비자원은 "중량이 제품별로 최대 두 배 차이가 났다. 같은 크기 닭을 사용하더라도 브랜드와 메뉴에 따라 튀김옷 두께, 양념 첨가량, 조리시간 등이 달라 전체 중량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치킨 한 마리 열량은 1554∼3103kcal로 제품별 차이가 컸다. 평균 열량은 2121kcal(24종 평균)로 20대 여성 기준 1일 에너지 필요 추정량인 2000kcal를 대부분 넘는 수준이다.

칼로리가 가장 높은 건 매운맛인 네네치킨의 '쇼킹핫치킨'이 3103kcal로 1일 추정량 대비 155% 였으며, 굽네치킨의 '고추바사삭'은 1일 추정량의 78%로 가장 낮았다.

또 브랜드·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치킨 한 마리를 먹는 경우 나트륨·지방·포화지방·콜레스테롤이 1일 기준치를 크게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름을 사용해 튀기는 데다 각종 양념까지 더해져서다. 비교 대상 중 나트륨 함량은 네네치킨의 '쇼킹핫치킨'(4828mg), 처갓집양념치킨의 '슈프림골드양념치킨'(4250mg) 순으로 많았다. 한 마리가 1일 기준치(2000mg)의 배가 넘는다.

포화지방은 치즈맛 네네치킨 '치즈스노잉'이 1일 기준치(15g) 대비 327%로 가장 높았다. 콜레스테롤의 경우 굽네치킨 '치즈바사삭'이 1일 기준치(300mg)의 303%에 달했다.

치킨 100g당 나트륨 함량의 경우 평균 427mg, 평균 당류 함량은 7.4g으로 집계됐다.


한편, 10개 브랜드 중 교촌·굽네·BBQ·호식이두마리 4개를 빼고는 영양성분을 표시하지 않고 있다. 어린이기호식품을 판매하는 프랜차이즈(점포 50개 이상)는 표시 의무가 있지만, 치킨은 여기 포함되지 않는다.


소비자원은 "치킨은 영양성분 표시 의무대상은 아니지만 국민 다소비 식품이며 열량, 포화지방 등의 함량이 높으므로 섭취량 조절을 위해 영양성분 정보제공이 필요하다"며 "업체의 부담을 줄이고 영양성분 표시를 유도하는 방안 마련을 정부 및 유관기관에 건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자료=한국소비자원
자료=한국소비자원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