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인천 부평 캠프마켓 조병창병원 철거 수순 밟는다

한갑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1.19 14:10

수정 2023.01.19 14:10

인천시가 철거키로 결정한 부평 캠프마켓 내 조병창 병원 건축물 전경.
인천시가 철거키로 결정한 부평 캠프마켓 내 조병창 병원 건축물 전경.


【파이낸셜뉴스 인천=한갑수 기자】 일제강점기 당시 조병창 근로자 병원으로 사용된 인천 부평 미군부대(캠프마켓) 내 조병창 병원이 철거 수순을 밟는다.

정동석 인천시 도시계획국장은 19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부평 캠프마켓 내 조병창 병원 건축물을 철거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조병창 병원은 일제 강점기 당시 무기·탄약을 제조·저장·보급하는 장소인 조병창 내 근로자 병원으로 사용됐으며 해방 이후에는 주한 미군부대의 미군장교클럽으로 사용된 곳이다.

국방부는 부평 캠프마켓의 토양오염정화와 조병창 병원 건축물의 보존방안에 대해 오염정화를 법적기한 내 완료하기 위해 건축물 철거가 불가피하다는 의견을 인천시에 제시했다.

문화재청은 조병창 병원 건축물의 원형이 훼손되고 증축돼 등록문화재로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

국방부는 결국 정화사업을 실시하기로 하고 지난해 11월 조병창 병원 건축물의 철거를 시작했다.


건축물 철거가 시작되자 철거반대 및 존치를 주장하는 지역 시민단체가 시민의견 수렴을 요구하며 강력 반발함에 따라 인천시는 시민들의 목소리를 좀 더 깊이 듣고자 국방부에 철거 잠정 중지를 요청하고 찬반 의견을 주장하는 시민단체들과 소통간담회를 개최했다.

이후 시는 3차례의 소통간담회를 개최했으나 합의를 도출하지 못하고 참여주체간 기본 입장을 확인하는데 그쳤다.

시는 국방부와 문화재청의 입장이 명확하고 조병창 병원 건축물 존치에 대한 시민단체들의 의견이 상반되는 가운데 인천시가 토양오염정화 책임을 지고 문화재청 의견을 뛰어넘는 가치판단을 하기에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시는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국방부에 B구역 정화공사 임시 중지 요청을 철회해 중단됐던 사업을 정상화하기로 했다.

정동석 인천시 도시계획국장은 “조병창 병원 건축물이 철거되더라도 디지털 아카이브 작업을 실시해 유산을 최대한 보관하고 캠프마켓이 지닌 고유 가치를 이어가며 건강하고 안전한 공원으로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동석 인천시 도시계획국장은 19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설명회를 열어 부평 캠프마켓 내 조병창 병원 건축물에 대한 계획 등을 설명하고 있다.<div id='ad_body3' class='mbad_bottom' ></div>
정동석 인천시 도시계획국장은 19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설명회를 열어 부평 캠프마켓 내 조병창 병원 건축물에 대한 계획 등을 설명하고 있다.


kapsoo@fnnews.com 한갑수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