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건설

현대건설, 작년 신규 수주 역대 최대 35조4200억원.. 매출 17% 성장

김서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1.19 15:29

수정 2023.01.19 15:29


현대건설, 2022년 연간 연결 실적 잠정 집계
(원,%)
구분 2022년 2021년 증감율
매출액 21조2391억 18조655억 17.6
영업이익 5820억 7535억 -22.8
당기순이익 4850억 5544억 -12.5
신규수주 35조4257억 30조2690억 17.0
(현대건설 )

[파이낸셜뉴스] 국내 건설업계 선두 주자인 현대건설이 지난해 국내외 전방위적인 수주 활동으로 역대 최대 규모인 35조4200억원의 신규 수주액을 기록했다. 올해는 차세대 원전, 수소플랜트 등 에너지 전환 신사업을 본격화하고, 기술력 기반의 비경쟁 사업 추진 등 해외 사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가속화하기로 했다.

현대건설은 2022년 연간 연결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지난해 매출액이 전년 대비 17.6% 증가한 21조2391억원을 기록했다고 19일 밝혔다. 신규 수주는 전년 대비 17% 증가한 35조4257억원을 달성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당초 목표치 대비 124.9% 증가한 것이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2.8% 감소한 5820억원을, 당기순이익은 12.5% 감소한 4850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연결 자회사의 해외 현장 이익률 감소와 일부 플랜트 현장의 공기지연에 따른 비용 증가 등이 주요인으로 꼽힌다.

매출은 사우디 마르잔 공사, 이라크 바스라 정유공장, 파나마 메트로 3호선 등 해외 대형 현장 공정이 본격화되고, 개포 주공 1단지, 힐스테이트 송도 더 스카이 현장 등 국내 주택 부문에서 견조한 실적을 거뒀다.

수주는 필리핀 남부철도 공사, 사우디 네옴시티 터널 공사, 쿠웨이트 슈웨이크 항만 공사 등 굵직한 해외 대형 프로젝트와 샤힌 에틸렌시설 공사, 광주 광천동 주택재개발, 이태원동 유엔사부지 사업, 광양항 광역 준설토 투기장 조성공사 등을 따내며 새로운 수주 기록을 세웠다.

수주잔고는 전년 말 대비 14.3% 증가한 90조283억원을 유지하고 있다. 약 4.2년치의 안정적인 일감을 확보한 셈이다.

현대건설은 글로벌 경기 위축, 금리 인상 등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 속에서도 경영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

현금 및 현금성 자산(단기금융상품 포함)은 4조7722억원이며, 순 현금도 3조365억원에 달한다. 신용등급은 업계 최상위 수준인 AA-등급이다. 지불능력인 유동비율은 177.6%, 부채비율은 111.9%다.

현대건설은 올해에도 견고한 재무구조와 최고 신용 등급을 기반으로 '미래를 선도하는 글로벌 건설 리더'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올해 매출액 목표는 전년 실적 대비 20.1% 증가한 25조5000억원이다. 이를 위해 사우디 마르잔 가스처리 공장, 파나마 메트로 3호선 공사 등 해외 대형 현장에서 지속적인 매출과 국내 사업 매출을 차질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또 미래를 선도하는 글로벌 건설리더로 도약을 위해 △지속가능 성장 △인류의 꿈과 상상력 실현 △투명하고 공정한 조직 문화 등 3대 경영방침을 선포하고 조직 문화와 체질 개선에 나서기로 했다.

특히 사우디 아람코사의 중장기 성장 프로젝트 사업에 대한 독점적 지위를 확보하고 있는 만큼 중동지역을 중심으로 메가 프로젝트 수주를 이어갈 것으로 회사측은 기대했다.

아울러 탄소중심 기후변화 위기 대응을 위한 지속 가능 기술을 조기 사업화하고, 업계 최초로 시공 성과 경제성을 확보한 1등급 층간소음 저감기술 상품화에 매진하기로 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대내외 불확실성과 복합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조직문화와 체질 개선을 추진하고, 안전과 품질을 최우선으로 하는 고객 중심 경영을 강화할 것"이라며 "원자력, 수소 등 에너지 전환 사업을 본격화하고 미래 도시와 주거환경 개발을 선도하는 등 스마트 건설기술 확대를 통해 지속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