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경기둔화로 수출 악화·소비 급랭…1분기가 경기침체 분수령 [작년 4분기 '역성장']

김나경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1.26 17:37

수정 2023.01.26 17:37

작년 4분기 GDP -0.4% 성장
2년 6개월만에 '마이너스 성장'
글로벌 경기둔화로 수출입 감소
고물가·고금리에 서민 지갑 닫아
올해 1%대 성장도 불투명해져
정부, 상반기 경기보완 340兆 투입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기둔화로 수출 악화·소비 급랭…1분기가 경기침체 분수령 [작년 4분기 '역성장']
지난해 4·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0.4% 감소했다. 2년6개월 만에 '마이너스 성장'이다. 정부가 지출을 늘리면서 성장을 밀었지만 민간소비와 투자가 모두 줄어든 데다 수출이 부진했기 때문이다. 다만 연간 실질 GDP는 2.6% 상승, 목표치에 부합하는 가운데 올해 1%대 초·중반 성장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린다.
물가상승, 이자 부담으로 민간소비가 언제 회복될지 모르는 데다 중국의 리오프닝에 따라 제조업·IT 경기회복 속도와 규모가 달라질 수 있어서다.

■작년 4·4분기 GDP -0.4%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4·4분기 및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 속보치에 따르면 4·4분기 실질 GDP는 전분기 대비 0.4% 감소했다. 정부가 지출을 늘리면서 성장을 견인했지만 민간 소비가 더 큰 폭으로 줄어서 역성장을 했다는 분석이다.

성장 기여도를 지출항목별로 보면 순수출의 GDP 성장기여도는 전분기 -1.8%p에서 -0.6%p로 마이너스 폭이 줄었지만 내수 기여도는 전분기 2.0%p에서 0.3%p로 크게 축소됐다. 수출부진보다는 민간소비 등 내수 축소가 역성장 원인으로 더 크게 작용한 셈이다.

구체적으로 민간소비는 가전제품·의류·신발 등 재화와 숙박·음식·오락문화 등 서비스 소비가 줄어 0.4% 감소했다. 코로나19 거리두기 완화로 억눌렸던 소비가 2·4, 3·4분기에 큰 폭 확대됐다가 4·4분기에 약간 조정받았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또 부동산 거래 위축 등으로 이사수요가 감소하면서 가전제품 등 내구재 소비가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정부는 건강보험급여비, 물건비를 중심으로 전기 대비 3.2% 소비를 늘렸다.

황상필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지난해 물가상승 부담으로 예산 집행이 이연된 측면이 있었는데, 그런 것이 4·4분기 물건비 지출로 나타났고 독감 등이 유행하면서 건강보험급여비 지출이 늘어나서 정부의 기여도가 높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제주체별로 살펴봐도 '정부가 성장을 견인하고 민간은 성장세를 낮추는' 역할을 했다. 민간의 성장 기여도는 전분기 0.2%p에서 -1.1%p로 마이너스 전환했지만 정부 기여도는 0.1%p에서 0.8%p로 확대됐다. 경제활동별로 보면 서비스업이 증가했지만 제조업의 감소폭이 더 커졌다. 운수업, 금융·보험업이 늘어난 반면 컴퓨터·전자·광학기기 등 제조업이 부진했다.

■민간소비·제조업 '뇌관' 여전

수출과 수입이 모두 부진한 것도 역성장 요인이다. 반도체와 화학제품을 중심으로 수출이 5.8% 줄었다. 원유와 1차 금속제품 수입이 줄어들면서 수입이 4.6% 감소했다. 다만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원유, 천연가스 등 수입품 가격이 수출품 가격보다 더 크게 하락함에 따라 0.1% 증가했다.

분기 실질 GDP가 감소한 건 코로나19 확산 영향이 시작됐던 2020년 2·4분기(-3.0%) 이후 2년6개월 만이다. 당시에도 민간소비와 수출입이 모두 줄면서 역성장했다. 황 국장은 4·4분기 상황에 대해 "주요국과 IT 경기부진이 심화되면서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했고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경제활동 정상화 과정에서 성장을 견인했던 민간소비가 약화된 모습을 나타냈다"고 총평했다.

정부에서는 경기침체 우려에 선을 긋고 있지만, 뇌관으로 꼽히는 민간소비와 제조업이 언제 얼마나 살아날지는 미지수라는 분석이다.

한은에서는 △개인의 신용카드 사용액 증가율이 전년 동기보다 소폭 개선되고 있는 점 △1월 소비자심리지수가 지난해 11, 12월에 비해 개선된 점 등을 들어 민간소비가 회복할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다만 물가상승, 이자 부담으로 가계 소비여력 저하 등으로 회복 모멘텀이 당초 예상보다 늦어질 수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 또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당초(1.7%)보다 하향 조정한 바 있다.
1%대 성장이 예상되는 상황에 정부는 상반기 경기보완을 위해 340조원 규모의 재정·공공투자·민자사업 조기 집행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홍예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