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대기업

[단독] 한화오션 노사 갈등 표출..노조, 한화그룹 상대 첫 고소

정상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6.27 16:52

수정 2023.06.28 11:00

"중대재해·파업땐 無수당" 한화오션 요구에
노조 반발, 고용부에 '부당노동행위' 고소장
노사 '상생 선언' 한달도 안돼 갈등 표출
노조 "명백한 부당노동행위" 강경모드 전환
사측 문제조항 삭제.."안전사고에 관심 의미"
고용부 근로감독관, 사실 관계 등 조사 착수

한화오션 출범 직전인 지난 5월 중순 한화오션 소속 및 협력사 직원들이 옥포조선소 서문으로 출근하는 모습. 한화오션 제공
한화오션 출범 직전인 지난 5월 중순 한화오션 소속 및 협력사 직원들이 옥포조선소 서문으로 출근하는 모습. 한화오션 제공

[파이낸셜뉴스] 한화그룹에 편입된 한화오션의 노사 갈등이 가시화되고 있다. 한화오션 노동조합이 최근 회사 측을 부당노동행위로 고용노동부에 고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노조가 직접 한화오션 대표(피고소인)를 상대로 한 고소다. 한화그룹 편입 이후 처음이다. 한화오션 출범후 지난달 말 노사가 함께 상생을 선언한 지 한달도 안된 시점이다. 게다가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이달 초 "(한화오션의) 인위적인 구조조정은 없다"고 밝히면서 노사 상생 분위기가 고조된 상황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 부당노동행위 고소를 계기로 노조가 강경 태세로 전환한 것으로 풀이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오션이 직원 인센티브 지급 조건으로 제시한 '중대재해와 파업 미발생'에 대해 금속노조 한화오션지회가 "회사측의 명백한 부당노동행위"라며 고용노동부 통영고용노동지청에 지난 20일 고소장을 접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피고소인은 한화오션 권혁웅 대표다.

통영고용노동지청 관계자는 "한화오션 대표를 피고소인으로 하는 부당노동행위 고소장이 지난 20일 접수됐다"며 "고소장이 접수된 이상 근로감독관(사법경찰)이 관련 조사를 착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상대방·참고인 조사 등을 거쳐 최소 두달 이내 검찰에 송치하는 절차로 진행된다"고 했다.

이번에 노사 갈등을 촉발한 사안은 한화오션이 제안한 인사제도 개편안 중 직원 인센티브 조건이다.

앞서 지난 9~13일 한화오션은 직원들을 상대로 한 인사제도 개편 설명회에서 생산관리 수당 및 인센티브 지급 조건을 밝혔다. 생산조직 소속의 공정·노무·안전 관리를 모두 수행하는 인원 중 팀장 미만 생산관리자에게 분기별로 10만∼30만원의 생산관리 인센티브를 지급하겠다는 게 골자다. 그러나 중대재해(사망사고) 또는 파업(직영·협력) 발생 시 지급하지 않는다는 지급 조건을 붙인 것이다.

중대재해와 파업이 없으면 첫 분기부터 3개 분기까지 분기별 최대 30만원을 지급하는 데 10만원씩 올려주겠다는 것이다. 사망사고 또는 파업이 발생하면 인센티브 미지급 사유에 해당돼 그 분기엔 수당이 없다. 인센티브도 10만원부터 돌아가는 식이다. 이 조건은 직영(원청)과 협력사(하청)에 해당돼 원청·하청 하나만 파업해도 모두 인센티브를 받지 못한다.

이에 노조는 즉각 반발했다. 헌법에 보장된 노동조합의 고유한 권리를 봉쇄하는 요구이자 노노 갈등을 조장하는 행위라는 것이다.

한화오션 거제 옥포조선소 전경. 한화오션 제공
한화오션 거제 옥포조선소 전경. 한화오션 제공


한화오션 노조 관계자는 "파업을 했다는 이유로 수당을 주지 않겠다는 것은 명백한 부당노동행위"라며 "갓 출범한 한화오션이 수당 지급을 이유로 헌법에 보장된 노조 활동을 막겠다는 매우 엄중한 사안으로 판단해 회사측을 고소한 것"이라고 말했다.

노조는 강경한 입장이다. 문제가 된 인센티브 조건 삭제 유무에 상관없이 사측을 고소하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고, 이를 곧바로 이행했다는 점에서다. 앞으로 전개될 노사 협상에서 이와 유사한 한화그룹의 행태에 대해 초반에 강경 대응을 선택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대해 한화오션은 "생산관리자 인센티브 조건으로 내건 파업은 생산에 차질과 피해를 주는 불법 파업을 말하는 것으로 표현이 잘못된 점이 있다"고 해명했다.
회사 측은 "이번 취지는 생산관리자들이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좀 더 신경 써달라는 것과 관리자들이 파업의 빌미를 제공하지 않도록 해 달라는 의미"라고 했다.

한화오션 측은 논란이 된 생산관리자 인센티브 지급 조건에서 파업 관련 내용을 삭제한 상태다.


현재 한화오션 노사는 기본급·수당 인상, 사무직 근로자 수당 차별 금지, 정년 연장 등을 골자로 8차 단체협상까지 진행한 상황이다.

skjung@fnnews.com 정상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