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대기업

반도체 키우는 美·中·日과 경쟁 심화…"과감한 R&D 지원해야"

장민권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7.13 06:00

수정 2023.07.13 07:37

자료: 전국경제인연합회
자료: 전국경제인연합회

[파이낸셜뉴스] 반도체·소재·자본재 등 국내 미래 주력 산업 분야에서 주요국과 경합이 한층 심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부가가치가 큰 금융, 헬스케어 등에서 한국은 경쟁력이 뒤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됐다. 반도체 등 경쟁력 우위 산업에 대한 과감한 연구개발(R&D) 세액공제 지원과 함께 금융 등 경쟁력 열위 산업의 발전을 가로막는 규제 혁신을 병행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3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한국, 주요 5개국(G5), 중국의 업종별 시가총액 비중과 산업별 경합 수준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국내 상장기업 시가총액 산업군별 비중은 기술 하드웨어 및 장비(23.7%)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자본재(15.2%), 소재(9.8%), 제약, 생명공학, 생명과학(8.4%),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6.0%) 순으로 비중이 컸다.

하드웨어(23.7%)·자본재(15.2%)·소재(9.8%)·제약(8.4%)·미디어(6.0%) 등 상위 5개 산업군에 전체 시가총액의 63.1%이 편중된 것으로 조사됐다.


시가총액 비중이 증가한 산업별 대표 기업을 살펴보면 제약·생명공학·생명과학 산업군의 셀트리온은 4.4배(5조 2000억원→23조원),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군의 네이버는 2.7배(10조원→26조 6000억원), 반도체 및 반도체 장비 산업군의 SK하이닉스는 2.9배(17조 8000억원→51조 6000억원) 증가했다.

주요국의 상장기업 시가총액 비중을 비교한 결과, 대부분 자본재, 소재 등의 비중이 컸다.

주요 국가별 시가총액 기준 상위 3대 산업군을 보면 한국은 기술 하드웨어 및 장비(23.7%), 자본재(15.2%), 소재(9.8%) 순이었다. 미국은 소프트웨어(9.6%), 제약, 생명공학, 생명과학(8.9%), 금융 서비스(8.6%)였고, 중국은 자본재(12.3%), 소재(10.0%), 은행(9.2%)으로 조사됐다. 일본은 자본재(14.7%), 자동차 및 부품(8.0%), 기술 하드웨어 및 장비(6.0%) 순이었다.

최근 10년간 산업군별 추이는 주요국 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났다. 2012년 대비 헬스케어 장비 및 서비스와 반도체 및 반도체 장비 비중은 주요 국가에서 증가한 반면 유틸리티, 은행, 에너지 비중은 대부분 감소했다.

전경련이 2022년 시가총액 데이터로 현시비교우위지수(RCA)를 산출해 국가 간 산업 경합성을 분석한 결과, 한국은 기술 하드웨어 및 장비, 소재, 자본재, 반도체 및 반도체 장비 등의 산업군에서 비교우위가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2022년 주요국의 현시비교우위지수를 비교한 결과를 보면 한국은 미국, 중국, 일본과 각각 4개 산업군에서 비교우위가 겹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과는 하드웨어와 반도체, 중국·일본과는 소재와 자본재 등에서 비교우위가 겹쳐 장래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장래 주요국 간 경쟁이 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보험, 운송, 부동산 관리 및 개발 등의 산업군에서 한국은 비교우위를 갖지 못할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부가가치가 큰 금융업(은행·보험)에서 향후 국제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데 반해 한국의 금융업은 경쟁력이 낮을 것으로 평가됐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균형 있는 산업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해 한국의 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