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공기업

부산항만공사, 글로벌 스마트항만 구축 데이터 수집

권병석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8.17 18:25

수정 2023.08.17 18:25

특수센서로 선박 계류장력 측정
자율운항 선박 도입 밑거름 기대
부산항만공사 직원들이 카페리선인 팬스타드림호(2만1688t)를 대상으로 선박계류장력을 측정하고 있다. 부산항만공사 제공
부산항만공사 직원들이 카페리선인 팬스타드림호(2만1688t)를 대상으로 선박계류장력을 측정하고 있다. 부산항만공사 제공
부산항만공사(BPA)는 부산항 신항 4부두와 국제여객부두에서 컨테이너선 HMM 라온호와 카페리선 팬스타드림호를 대상으로 선박 계류장력 측정을 했다고 17일 밝혔다. 계류장력은 부두에 접안한 선박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계류줄과 이를 묶어두는 쇠기둥(곡주)에 가해지는 힘을 의미한다.

BPA는 해양수산부에서 주관하는 '자율운항선박-스마트항만 연계기술 개발' 연구과제에 2021년부터 참여, 관련 기술개발을 위해 선박의 종류와 규모에 따른 계류장력을 측정·분석하고 있다.

BPA는 이들 선박의 계류장력 측정을 위해 특수 센서를 제작했다.
이 센서로 해류, 화물량, 풍랑 등에 따라 변화하는 장력을 측정하고 분석했다.

BPA는 앞서 세계 최대 규모 2만4000TEU급 컨테이너선의 계류장력을 측정하고, 이번에는 1만6000TEU급 '컨'선, 2만t규모의 카페리선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어 하반기 중 Ro-Ro선 및 크루즈선 등 다양한 선종을 대상으로 측정범위를 확대해 데이터를 축적해 나갈 계획이다.

BPA는 측정과 분석을 통해 도출된 데이터를 자율운항 선박 도입에 필수적인 자동계류장치의 핵심기능 설계와 향후 부산항 부두의 곡주 등 계류시설 설계 때 참고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그간 항만에서는 선박의 대형화로 계류시설의 규모도 꾸준히 확대되어 왔다. BPA는 이번 계류장력 측정데이터를 적정 규모의 안전한 계류시설의 기준을 마련하는 데도 활용할 예정이다.


컨테이너선박 계류장력은 세계적으로 측정·분석이 이루어진 전례가 거의 없어 부산항이 글로벌 스마트항만으로 나아가기 위해 선제적으로 데이터를 확보했다는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BPA는 설명했다.

bsk730@fnnews.com 권병석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