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제약

SK바사, 백사스와 장티푸스 패치백신 공동개발 나선다

강중모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8.24 10:12

수정 2023.08.24 10:12

글로벌 자선단체 英 웰컴의 지원 받게 돼
'마이크로니들' 적용된 패치 방식의 백신
SK바사, 백사스와 장티푸스 패치백신 공동개발 나선다

[파이낸셜뉴스] SK바이오사이언스는 호주의 백신 플랫폼 개발 전문기업 ‘백사스'와 패치백신을 공동 개발하는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4일 밝혔다.

고밀도 마이크로어레이 패치(HD-MAP) 기술을 적용한 장티푸스 단백접합 패치백신을 공동 개발하는 것이다. 이번 협력은 글로벌 헬스케어 자선 재단인 영국 ‘웰컴트러스트'의 지원을 통해 진행된다.

웰컴은 인류 보건 증진을 목표로 설립된 글로벌 재단으로 현재 감염병의 확산 요인에 대한 주요 연구 및 감염병 통제를 위한 실용적인 해결책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웰컴 및 국제백신연구소와 지난 2019년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 백신(iNTS) 3가 후보물질 개발에 대한 협업을 시작한 데 이어 지난해 10월에는 웰컴이 글로벌 제약사와 만든 연구기관 ‘힐레만연구소’와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파트너십을 강화해 왔다.

이번 협약으로 SK바이오사이언스는 현재 국내 허가를 받고 WHO PQ 심사 중인 장티푸스 백신인 '스카이타이포이드'의 항원을 공급하고, 백사스는 이를 활용해 피부에 부착하는 '마이크로어레이 패치' 제형 개발에 나선다.
웰컴 측은 약 2년 정도로 예상되는 임상 1상 까지의 비용 약 540만 호주 달러(한화 약 47억원)를 우선 지원한다.

흔히 ‘마이크로니들’로도 불리는 마이크로어레이 패치는 초미세바늘이 부착된 패치를 피부에 붙여 체내로 약물을 직접 전달하는 제형이다. 기존 근육 주사 방식에 비해 적은 용량의 약물로도 빠르고 효과적인 면역원성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고, 숙달된 전문 의료인의 도움 없이도 자가접종이 가능해 백신에 대한 편의성과 접근성을 높여준다.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은 “중·저개발 국가에서 빈번하게 발병하는 위험한 질병은 백신이 개발되더라도 제형과 유통의 한계로 널리 활용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했다”며 “국경을 초월한 협력을 바탕으로 인류의 건강 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다양한 제형과 제품을 지속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