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건·사고

"인프라 확대될 것" vs "왜 김포만? 명분 없다"...‘김포 서울 편입’ 갈라진 수도권

이진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1.01 18:32

수정 2023.11.01 18:32

집값 상승·교통난 해소 등 기대감
형평성 논란·지방소멸 가중 지적도
국민의힘이 당론으로 경기도 김포시를 서울특별시로 편입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1일 오후 경기도 김포시 거리에 현수막이 걸려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당론으로 경기도 김포시를 서울특별시로 편입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1일 오후 경기도 김포시 거리에 현수막이 걸려있다. 연합뉴스
정치권에서 경기 김포시를 서울로 편입하는 방안을 추진하자 수도권 주민들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김포 주민들은 인프라 확대 등의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지만 인근 수도권 주민들은 형평성 문제가 있다는 반응이다. 서울 편입이 독이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소외된 지역...인프라 확대 기대"

1일 김포시의 서울 편입 소식을 듣고 김포시 주민들은 대체로 환영의 뜻을 표현했다.
김포 한강신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황모씨(38)는 "김포시는 경기북도에 편입될 가능성이 높아 소외된 지역이다"며 "집값을 떠나 눈이 오거나 도로 공사 등을 봐도 서울 소속일 때가 김포시 소속일 때보다 훨씬 빠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주민들은 '집값 상승'과 '교통난 해소'를 주된 이유로 꼽았다. 한강신도시에 거주하는 김모씨(36)는 "현재 김포시는 지하철 등 인프라 시설이 부족해 집값이 오르지 않고 있다"며 "서울시라는 수도에 속하면 자연스럽게 5호선, 9호선 연장 등 지하철 수혜를 입을 수 있다. 자연스럽게 집값도 서울의 다른 지역과 연동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모씨(44)는 "한강신도시와 인근 풍무·사우동 주민들도 교통난 해소와 집값 상승을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포시 인구의 60%가량이 거주하는 이곳 주민들은 열악한 교통 인프라 탓에 고통받고 있다.

단순 '집값 상승'의 관점에서 서울 편입을 바라볼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황씨는 "'서울 편입'을 단순 집값이라는 프레임으로 잡지 말고 우리 지역이 더 발전될 방안으로 봐야 한다"며 "경기 북부의 외딴 섬이라기 보다 서울 외곽으로 남는 게 우리 지역 발전에 보탬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 편입이 독이 될 것이란 반응도 나온다. 이모씨(38)는 "서울 변방으로 편입되면 행정권과 재정 운용 등에서 오히려 손해를 보게 될 것이다"며 "그저 내년 총선을 앞두고 표심을 받기 위한 행동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포는 편입하고 일산은 놔두나" 형평성 논란도

인근 도시 주민들은 형평성 문제를 손에 꼽았다. 국민의힘은 총선용 전략이라는 비판에 선을 그으며 '왜 김포냐'는 질문에 '서울로 출퇴근하는 김포시민이 많다'는 근거를 앞세웠다.

그러나 통계청에 따르면 서울 통근·통학 인구 비율에서 김포는 인구 47만3970명 가운데 서울로 통학·통근하는 인구가 12.7%를 차지해, 광명(20.4%)·하남(20.2%)·과천(19.9%)·고양(15.1%) 보다 낮다.

성남시 분당구에 거주하는 직장인 임모씨(30)는 "경기도 중 어디는 서울로 편입하고 어디는 안하는 게 말이 안 된다고 본다"며 "결과적으로 정당한 기준이 필요한데, 그렇지 않으면 경기도 지역끼리 형평성과 관련된 불만만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일산신도시에 거주하는 권모씨(37)또한 "교통정책에 줄곧 소외된 것은 일산도 마찬가지"라면서 "더 많은 사람을 서울시로 편입시키는 순간 지방 소멸은 가중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대학원생 강모씨(26)는 "김포시가 서울시로 편입됐을 때 얻는 이득이 무엇인지 모르겠다"며 "메가시티는 행정구역이 아닌 생활권에 방점이 찍힌 개념이다. 행정구역이 늘어난다고 서울시가 메가시티로 부상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부천시에서 교사 생활을 하는 A씨(31) 또한 "교사의 경우 경기 교육청 소속 교사 중 서울 편입 교사들은 서울교육청으로 편입되는 일이 벌어진다"며 "교사뿐만 아니라 행정구역이 바뀌면서 혼란이 가중되고 사회적 비용이 늘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beruf@fnnews.com 이진혁 주원규 김동규 강명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