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방

한미 해군총장, 美핵항모 함께 올라 '양국 군사협력 증진' 논의

이종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1.24 13:39

수정 2023.11.24 13:39

"북한 위협 고도화…엄중한 안보 상황에 연합방위태세 강화"
[파이낸셜뉴스]
미국 해군 핵 추진 항공모함 칼빈슨함이 21일 오전 부산항에 입항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미국 해군 핵 추진 항공모함 칼빈슨함이 21일 오전 부산항에 입항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해군은 24일 부산작전기지에 기항중인 미 해군의 원자력추진 항공모함 칼 빈슨(CVN-70)함에 양용모 해군참모총장과 리사 프란체티 미 해군참모총장은이 함께 올라 양국 해군 간 군사협력 증진 방안을 논의했다.

프란체티 총장은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공고히 하고 주한미해군사령부를 격려하고자 전날 1박2일 일정으로 방한했다. 프란체티 총장은 이날 주한 미 해군사령부(CNFK)를 찾아 주한 미 해군 장병들을 격려하기도 했다.

양 총장은 "한미동맹은 역내 평화·번영을 위한 핵심적 역할을 해왔다"며 "양국 해군의 협조체제는 한미 공조의 모범적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고 평가했다.


양 총장은 특히 "프란체티 총장의 노력 덕분에 CNFK는 우리 해군작전사령부와 부산작전기지의 한 울타리 안에서 근무하며 굳건한 연합공조체계를 구축해왔다"고 언급했다.

프란체티 총장은 지난 2013년부터 2년간 주한 미 해군사령관으로 임무를 수행하면서 CNFK의 부산작전기지 이전을 주도했다.

양 총장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고도화되고 있는 엄중한 안보상황 속에 앞으로도 양국 해군이 지금껏 쌓아온 유대관계를 토대로 더 긴밀히 협력해 한미연합 방위태세를 한 단계 더 끌어올리자"고도 말했다.

이달 2일(현지시간) 미 상원의 인준을 받은 프란체티 총장은 미 해군 최초의 여성 참모총장이다.

두 총장이 만난 칼빈슨호는 미 해군 제1항모강습단 소속으로,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21일 부산작전기지에 입항했다.

한편 세계 각국 해군의 항모전단 중에서도 미 해군의 항모전단을 일컫는 '항모타격전단(CSG : Carrier Strike Group)'의 전개는
통상 항공모함을 호위하기 위한 주변해역 수십km 범위 내에 각 방향에서 작전을 지원하는 기동함대를 포함한 3~4척 이상의 이지스 전투함과 방공 구축함, 2척 이상의 공격형 원자력 잠수함, 지원 군수지원함 등이 포진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또 축구장 3배 넓이 갑판엔 항모비행단(Carrier air wing)을 두고 있다. E-2 호크아이 조기경보기와 F18 슈퍼호넷, EA18 그라울러 전자전기, MH60R 해상작전헬기 등 함재기를 비롯해 중·소 국가의 전체 공군 전력과 맞먹는 해군 항공대 전력을 탑재하고 있다.


특히 이번에 부산작전기지에 입항한 칼빈슨함엔 F-35C 스텔스 함재 전투기 1개 대대를 탑재해 한층 업그레이드된 최강의 항공전력을 갖췄단 평가를 받고 있다.

양용모 해군참모총장. 사진=뉴스1
양용모 해군참모총장. 사진=뉴스1

여성 최초로 미 해군 참모총장 후보로 지명된 리사 프란체티 제독. 사진=뉴시스
여성 최초로 미 해군 참모총장 후보로 지명된 리사 프란체티 제독. 사진=뉴시스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