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SKT 'AI콜'로 취약계층 4000여명 따뜻한 상담 나눴다

구자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1.28 08:32

수정 2023.11.28 08:32

관련종목▶

SK텔레콤이 지난 1년 동안 AI안부확인서비스를 통해 취약계층 4063명의 위험 상황을 도왔다고 28일 밝혔다. SKT 제공
SK텔레콤이 지난 1년 동안 AI안부확인서비스를 통해 취약계층 4063명의 위험 상황을 도왔다고 28일 밝혔다. SKT 제공

SK텔레콤이 지난 1년 동안 인공지능(AI)안부확인서비스를 통해 위험 상황을 감지한 취약계층 4063명을 도왔다고 28일 밝혔다.

SKT는 ‘누구 비즈콜(NUGU bizcall)’을 기반으로 지난해 10월부터 AI안부확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AI안부확인서비스는 AI콜을 통해 고독사 위험가구, 1인 시니어 가구 등 취약계층의 안부를 주 1회 확인하는 서비스다.

SKT는 현재 서울시 22개구, 인천광역시 10개구·군,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산하 24개 수행기관 등 전국 주요 100여 개의 지자체·기관과 협약해 AI안부확인서비스를 진행 중이다.


SKT는 안부전화에 그치지 않고 ‘아프다’, ‘힘들다’ 등 위험 발화를 한 4063명에게 행복커넥트 전문 상담사를 연결해 심리적 안정을 지원했다. 사회적 기업인 재단법인 행복커넥트는 통화 결과에 대한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SKT는 위험발화 대상자 중 위급 대상자로 분류된 28명에게 병원 동행 서비스를 연계하고 치료를 지원했다. 실제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거주하는 김모씨(여, 73)는 AI안부전화에 “지금 막 죽겠어. 너무 아파 갖고”라며 “목 부근에 이상이 있는데 혼자서는 무서워 병원에 가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해당 통화 내용은 위험 발화로 분류돼 병원 동행 서비스 안내로 이어졌으며 김모씨는 적기에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

SKT는 현재까지 누적 11만538명을 대상으로 약 176만건의 AI안부전화서비스를 제공했다.
또한 AI콜을 통해 ‘보일러 고장’, ‘쓰레기 봉투 부족’ 등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계층의 복지서비스 요청 6780건을 지자체에 전달했다.

SKT는 연내 AI안부확인서비스에 SKT의 자체 초거대언어모델(LLM) 모델인 ‘에이닷엑스(A.X)’를 탑재하고, 다양한 사회·환경·사회(ESG) 사회안전망 영역에서 AI콜을 통해 기여할 수 있도록 고도화할 예정이다.


SKT 유영미 NUGU 담당은 “AI안부확인서비스를 통해 AI콜이 우리 사회의 사각지대에 도움의 손길이 될 수 있음을 느꼈다”며 “SKT가 보유한 AI와 ICT 역량을 고도화하며 사회 안전망 구축에 지속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