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인천항 스마트 물류 특화항만 탈바꿈

한갑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2.04 13:04

수정 2023.12.04 13:04

중소 전자상거래 수출입 화주 대상 공동물류 서비스 제공
2025년 상반기 본격 운영 예정, 디지털 물류 플랫폼 개발 
오는 2025년 상반기 본격 운영되는 전자상거래 특화구역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위치도.
오는 2025년 상반기 본격 운영되는 전자상거래 특화구역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위치도.


【파이낸셜뉴스 인천=한갑수 기자】 인천항이 스마트 물류의 특화 항만으로 탈바꿈한다.

인천항만공사(IPA)는 IPA 사옥에서 IGFC(Incheon Global Fulfillment Center) 컨소시엄과 전자상거래 특화구역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입주를 위한 사업추진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항만공사는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입주 우선협상대상자로 지난 8월 선정된 IGFC 컨소시엄과 공동화주 물량 유치 및 처리 등 기본사항, 스마트물류센터 운영 및 입주자시설 투자 조건, 사업실적평가 등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

IGFC 컨소시엄은 세중해운㈜, 남성해운㈜, ㈜우련티엘에스, 아워박스㈜ 총 4개사로 구성된 사업시행법인으로 이번 계약 체결을 통해 정식 입주대상기업으로 전환됐다.

항만공사는 2025년 상반기 스마트 물류센터가 본격적으로 운영되면 연간 최대 1만2627TEU(1TEU는 6m 길이 컨테이너 1개)의 신규 물동량이 발생하고 50명 이상의 고용 창출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IGFG 컨소시엄에 해상·육상물류 전문기업과 전자상거래 ICT 전문기업을 포함하고 있어 안정적인 중소 화주 확보가 가능하고, 그간의 스마트물류센터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한 End-to-End(최종 고객에게 제품을 인도하는 단계) 물류, 최첨단 자동화 풀필먼트, Sea&Air 복합물류 서비스를 통해 인천항 물류시스템의 첨단화를 실현하고 고객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항만공사가 공급하는 스마트 공동물류센터는 지상 3층 및 건축 연면적 1만9085㎡ 규모로 해양수산부와 공동으로 총투자비 428억원(국고보조금 120억원, 자체예산 308억원)을 투입했다. 물류센터를 직접 확보할 수 없는 중소 화주의 화물을 스마트 공동물류시설에서 처리해 물류비용 부담을 줄이는 지원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경규 인천항만공사 사장은 “중소 화주를 적극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는 등 인천항 물류 경쟁력 강화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kapsoo@fnnews.com 한갑수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