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

로봇친화 단지 조성… 네옴시티 등 해외 수주 발판 삼는다 [스마트빌딩 1만곳 세운다]

김서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2.19 18:08

수정 2023.12.19 18:08

정부 '스마트+빌딩' 로드맵 발표
2025년까지 특별법 제정 추진
UAM 수직착륙장 거점 구축 등
상용화사업 바탕 수출 교두보 마련
로봇친화 단지 조성… 네옴시티 등 해외 수주 발판 삼는다 [스마트빌딩 1만곳 세운다]
오는 2035년까지 전국에 로봇배송, 도심항공교통(UAM) 등 첨단시설이 복합된 '스마트플러스(+)빌딩' 1만동이 조성된다. 3기 신도시인 고양창릉에는 로봇친화형 공동주택이 들어선다. 정부는 이를 발판으로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인도네시아 신수도 등 해외 첨단 인프라 수주에 나서기로 했다.

■3기 신도시 고양창릉 '로봇친화 단지' 조성

국토교통부는 19일 이 같은 내용의 '스마트+빌딩 활성화 로드맵'을 내놨다. 스마트+빌딩은 로봇배송, UAM 등 4차 산업혁명 기반으로 구축되는 건축물을 말한다. 일례로 외부에서 건물 안으로 로봇을 통한 물류배송이 이뤄지고, 차량용 엘리베이터를 통해 건물 내로 이동한 자율주행차를 바로 이용할 수 있다.


로드맵에 따르면 건축물이 UAM, 자율주행, 스마트물류 등 모빌리티 친화 인프라로 거듭날 수 있도록 건축기준이 마련되고 용적률·건폐율 완화 혜택도 추진된다. 이를 위해 오는 2025년까지 스마트+빌딩 특별법 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어 2035년까지 각종 기반 조성을 통해 스마트+빌딩 인증 건축물 1만동을 조성한다.

우선 건물 안팎에서 로봇배송이 이뤄지거나 각종 편의서비스를 제공하는 '라스트인치' 서비스를 위한 건축환경이 구축된다. 바퀴구동 로봇의 이동성 확보를 위해 문턱·경사 등 장애요소를 제거하고 충전·정비 등 로봇 활용에 필요한 특화공간을 조성하는 방식이다. 3기 신도시 고양창릉지구에 선도사업을 추진하고, 내년 상반기 중 '로봇친화형 공동주택 조성을 위한 미래건축 특별설계공모'에 나선다.

기존 건축물도 스마트기술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내년부터 생활권 단위로 주거지역 내 소규모 로봇 물류거점 조성을 허용하기로 했다.

또 자율주행, 개인용이동장치(PM) 등 신모빌리티 도입에 발맞춰 지하철·버스 등 기존 교통수단과 연계되도록 자율형 주행 도킹데크, 차량용 엘리베이터를 도입한다. 이를 통해 평균 대중교통 환승시간을 15분가량 절감하기로 했다.

내년 중 서울고속터미널 등 주요 교통거점을 주거·상업·환승 등 복합용도 멀티모달 교통허브로 개발하는 사업모델 공동 연구도 추진키로 했다. '멀티모달'은 시각·청각을 비롯한 여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 것을 말한다. 각종 모빌리티 환승, 다양한 용도 혼재 등으로 복잡한 건축물 특성에 맞춰 피난·방화 등 성능기반 안전기준도 도입한다.

■UAM 수직이착륙장 거점 구축

재난에 대응하고, 응급환자 이송을 위해 UAM 수직이착륙장(버티포트)도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병원, 경찰서, 소방서, 방송사 등에 UAM 긴급 버티포트를 건립하고 의료·교통 등 공공서비스 낙후지역을 광역허브와 연결해 여객·물류를 수송하는 UAM 거점으로 조성한다. 이를 위해 UAM 버티포트 건축물 용도를 신설하고, 공공기능을 확보한 버티포트에 대해선 용적률과 건폐율을 완화하기로 했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등 철도망, 도심 지하튜브, 하이퍼튜브 등 대심도 지하공간 모빌리티에 대비해 건축물 간 연계 인프라도 구축한다. 선도사업으로 서울 양재에 도시철도망과 연계한 스마트물류센터가 오는 2029년까지 추진된다.

스마트빌딩을 위한 인재 양성도 추진된다. 2027년부터 로봇, UAM, 건축 등 융복합 과정을 운영하는 스마트+빌딩 특화대학원을 지정하고, 스마트+빌딩 전문가 국가자격도 추진한다.
내년 중 스마트+빌딩 조성 시 고려사항을 담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2025년부터 스마트+빌딩 인증을 도입하기로 했다.

정부는 2035년까지 UAM과 자율주행 상용화 일정 등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경우 건축산업 매출 약 12조원 유발과 신규 일자리 약 13만개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했다.
장기과제로 2028년부터 사우디 네옴시티, 인도네시아 신수도,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등에 스마트+빌딩 관련 기업들의 진출 교두보를 마련하기로 했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