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방

전국 보훈병원 시설 확충, 위탁병원 최대 규모 확대

이종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1.09 13:55

수정 2024.01.09 13:55

국가보훈부 "국가유공자에 고품질 의료서비스 제공 강화"
대구보훈병원 재활센터 9월 완공, 병상수·주차장 확대
중앙보훈병원 증축, 광주보훈병원 중증·응급의료시설 확충
[파이낸셜뉴스]
국가보훈부 이희완 차관이 지난달 27일 서울 강동구 중앙보훈병원을 찾아 제2연평해전 당시 직속상관이던 고(故) 윤영하 소령 부친 윤두호씨를 위문하고 있다. 2002년 참수리 357호 정장이던 윤영하 소령은 제2연평해전에서 북한과 교전과정에서 전사했다. 당시 중위였던 이희완 차관은 윤 소령이 전사하자 양쪽 다리에 총상을 입은 상황에서도 참수리 357호를 지휘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사수했다. 사진=연합뉴스
국가보훈부 이희완 차관이 지난달 27일 서울 강동구 중앙보훈병원을 찾아 제2연평해전 당시 직속상관이던 고(故) 윤영하 소령 부친 윤두호씨를 위문하고 있다. 2002년 참수리 357호 정장이던 윤영하 소령은 제2연평해전에서 북한과 교전과정에서 전사했다. 당시 중위였던 이희완 차관은 윤 소령이 전사하자 양쪽 다리에 총상을 입은 상황에서도 참수리 357호를 지휘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사수했다.
사진=연합뉴스
국가보훈부가 9일 국가유공자에게 제공하는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전국 보훈병원 기반 시설을 확충한다고 밝혔다.

이날 보훈부는 "올해부터 오는 2028년까지 294억원을 투입해 서울 강동구 중앙보훈병원 중앙관 4~5층 증축 등 진료시설을 재배치하고 인공신장실과 내시경실 등 외래 진료 공간을 확장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강정애 보훈부 장관은 "국가를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셨던 분들께 치료를 넘어 평생의 건강을 돕고 지원해 드리는 것은 국가의 당연한 예우이자 의무"라며 "고령의 국가유공자분들이 건강한 노후생활을 하실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보훈부는 모든 보훈병원 간 진료정보 공유로 진료 편의성을 높이고 보훈대상자 개개인의 상태에 맞는 정밀의료서비스 제공과 보훈병원 업무 표준화 등을 위한 차세대 보훈병원정보시스템 개발에 착수키로 했다.

보훈부는 또 보훈대상자가 집 근처에서 편리하게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이달 1일 기준 702곳인 위탁병원을 올해 말까지 916곳으로 늘릴 예정이다. 나아가 오는 2027년까진 1140곳으로 확대한다.

보훈병원에 입원한 보훈대상자의 간병 부담 완화를 위해 진행 중인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도 현재 30%에서 40%로 확대할 계획이다.

앞서 지난해 말 보훈부는 중앙보훈병원 치과병원 재건축을 통해 진료용 의자 110개를 갖추고 보철·치주·교정과 등 7개 진료과에 최신 장비와 의료진을 확충했다.

이와함께 광주보훈병원의 중증·응급 의료 기능을 강화한다. 지역 공공의료기관으로써의 역할 수행을 위해 올해부터 오는 2027년까지 184억원을 투입해 응급실과 수술실 등을 확충할 예정이다. 또 응급실엔 음압격리실과 심폐소생실을 추가 설치하는 데 이어 심혈관센터도 새롭게 구축키로 했다.

또 대구·경북 보훈대상자에게 맞춤형 전문재활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구보훈병원 재활센터에 195억원을 투입해 오는 9월 완공하게 된다.

세부적으로는 노후화된 서관동을 재건축해 진료 공간과 함께 병상수를 기존 88개에서 110개로 늘리고, 주차장도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대구보훈병원 재활센터는 서울·부산·광주·대전보훈병원에 이은 다섯 번째 재활센터다.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