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청와대

尹, 첫 과학기술수석에 박상욱 교수..“R&D 업그레이드”

김윤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1.25 15:51

수정 2024.01.25 16:03

초대 과학기술수석, 박상욱 서울대 과학학과 교수
"R&D 쇄신 의지 갖췄다..투자 대상 선제 발굴"
朴내정자, 尹 거론 'AI·바이오·퀀텀' 지원 의지
산하에 R&D·디지털·바이오·전략기술 비서관
명칭·역할 미정..요점은 R&D 업그레이드
과학기술인 의견 반영해 내년 예산 조정
신설된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에 임명된 박상욱 서울대 교수가 2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소감 발표를 준비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신설된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에 임명된 박상욱 서울대 교수가 2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소감 발표를 준비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25일 신설되는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비서관에 박상욱 서울대 과학학과 교수를 내정했다. 연구·개발(R&D) 시스템 쇄신 의지를 담은 인선이라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이관섭 대통령비서실장은 이날 용산 청사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은 신설 예정인 과학기술수석에 박 교수를 내정했다”며 “박 내정자는 기초과학과 과학기술정책학 전공 후 과학기술 혁신 정책 분야 연구와 정책자문에 활발히 참여하는 등 이론과 실무를 두루 겸비했고 정책적 식견이 높다”고 소개했다.

이 실장은 특히 “R&D 시스템에 대한 쇄신 의지도 갖춘 분”이라며 “미래 대한민국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기술과 R&D 투자 대상을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효율적으로 지원토록 제반 정책을 조정·조율해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박 내정자가 이끄는 과학기술수석실 산하에는 R&D정책·디지털·바이오메디컬·미래전략기술 등 4개 비서관을 둔다고 밝혔다.

박 내정자는 이 자리에서 “인공지능(AI), 양자(퀀텀), 바이오 등 전략기술 분야에서 역량을 확보하고 산업을 키우는 데 노력하겠다. 연구 현장 과학기술인 및 유관부처들과 적극 소통할 것”이라며 “연구자, 연구행정종사자, 공학도, 과학도 등 여러 관계 단체들과 합심해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를 선도형, 강대국형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데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본지는 앞서 윤 대통령이 과학기술수석 산하에 주요 과학기술별 비서관을 두고 과학자들을 기용하고, 과학기술계와 소통해 R&D 집중 대상을 물색할 계획임을 단독보도 한 바 있다. (관련기사 : [단독] 尹 ‘분야별 과학자 비서관’ 둔다.."R&D 집중 대상 찾는다")

박 내정자는 기자들과 만나 “4개 비서관 편제는 아직 확정은 아니고 역할과 명칭을 대통령실 내에서 논의해 잡아나갈 것”이라며 “요점은 전략기술 분야 경쟁력을 확보하고 R&D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는 조정 기능을 갖춘 비서관을 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R&D 개선 방향에 관해 “과거 개발도상국으로서 추격하는 시스템에서 이제 선도국가에 걸 맞는 과학기술 혁신 시스템으로 가야 한다”며 “그 과정에서 현장의 과학기술인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불필요한 오해를 불식시키고 모두의 동의를 얻을 선도형 R&D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 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어 올해 예산 편성 과정에서 국가 R&D 예산 삭감 논란을 두고 “내년 R&D 예산 조정 과정에서 과학기술수석 있을 때와 없을 때를 비교해 역할을 해냈다는 말을 듣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본지와 통화에서 “윤 대통령이 예산·세제 패키지 지원을 약속했던 AI·바이오·퀀텀은 올해 R&D 예산을 증액한 상태”라며 “과학기술수석을 통해 다른 집중지원 할 과학기술 분야들을 찾으며 내년도 예산 작업에 들어간다”고 말했다.

uknow@fnnews.com 김윤호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