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광주광역시, 자원회수시설 입지 재공모에 7곳 신청

황태종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1.29 17:32

수정 2024.01.29 17:32

서구1, 남구‧북구‧광산 각 2곳...응모 요건·입지여건·후보지 평가 거쳐 최종 입지 확정
광주광역시<사진>는 자원회수시설(소각) 입지 후보지를 재공모한 결과, 서구 1, 남구 2, 북구 2, 광산구 2 등 모두 7곳이 신청했다고 29일 밝혔다. 광주광역시 제공
광주광역시<사진> 는 자원회수시설(소각) 입지 후보지를 재공모한 결과, 서구 1, 남구 2, 북구 2, 광산구 2 등 모두 7곳이 신청했다고 29일 밝혔다. 광주광역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광주=황태종 기자】광주광역시는 자원회수시설(소각) 입지 후보지를 재공모한 결과, 서구 1, 남구 2, 북구 2, 광산구 2 등 모두 7곳이 신청했다고 29일 밝혔다.

앞서 광주시는 지난해 12월 1일부터 올해 1월 29일까지 60일간 일정으로 재공모 절차를 진행했다. 이번 재공모는 지난해 4월 1차 공모 때 신청한 입지후보지 6개소 모두 거주세대 동의서 미제출 등 응모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입지선정위원회가 '부적합' 의결하면서 재추진하게 됐다.

광주시는 재공모에 7곳이 신청함에 따라 폐기물시설촉진법에 의거해 입지 선정 절차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2월 1일 입지후보지에 대한 타당성조사 계획을 수립·공고하고 △응모 요건 파악 △입지여건 조사 △분야별 평가(입지·사회·환경·기술·경제)를 통해 최종 순위를 확정한다.

모든 과정은 입지선정위원회(위원장 최재완 광주대 교수)에서 주관하며, 타당성조사 과정과 결과를 시보 등에 공고하고 20일 이상 지역 주민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후 타당성조사 결과, 열람에 대한 주민 의견 수렴과 전략환경영향평가를 거쳐 최종 입지를 결정 고시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광주시는 그동안 사업 구상 용역을 통해 자원회수시설 규모(650t/일)를 확정하고, '광주온'을 통한 설문조사 등 대시민 홍보와 주민 수용성 확보를 위한 선진지 견학을 실시하는 등 친환경 시설 알리기에 주력했다.

특히 국내 선진지로 평가받는 하남(유니온파크), 천안(한들문화센터), 아산(환경과학공원)과 덴마크(아마게르바케) 사례 등을 소개해 자원회수시설이 혐오시설이 아닌 지역 발전을 견인하는 주민친화시설로 조성할 수 있는 점을 공유했다.

지난해 4월 1차 공모(6개소)에 이어 이번 재공모에서는 7곳이 신청했고, 이중 지난 공모에서 탈락 후 재신청한 곳은 2곳으로, 자원회수시설에 대한 비선호 이미지가 상당히 개선됐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최종 입지로 선정된 지역에는 법적으로 지원하는 편익시설과 광주시 차원의 특별 지원까지 1000억원 이상 지원을 하겠다는 광주시의 약속도 지역민들의 관심을 끄는 대목이다.


박윤원 광주시 자원순환과장은 "자원회수시설은 폐기물의 안정적 처리와 탄소중립을 위한 필수 사업"이라며 "입지 선정을 포함한 모든 절차는 공정하고 투명하게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