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소기업

"저출산 막자"...임신부 배려 나선 이 기업?

강경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2.20 05:00

수정 2024.02.20 05:00

오스템임플란트, 사내식당 임신부 배려석
고운세상코스메틱, 임신부 2시간 단축근무
파마리서치, 직원 출산 축하금 1000만원
작년 출산율 0.72명 추정, OECD 최하위
"기업들 국가 소멸 위기 극복 동참"
고운세상코스메틱 R&D본부에서 연구원들이 일하고 있다. 고운세상코스메틱 제공
고운세상코스메틱 R&D본부에서 연구원들이 일하고 있다. 고운세상코스메틱 제공

오스템임플란트 사내 어린이집 내부 전경. 오스템임플란트 제공
오스템임플란트 사내 어린이집 내부 전경. 오스템임플란트 제공

[파이낸셜뉴스] 중견·중소기업들이 우리 사회 심각한 문제로 떠오른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는데 동참하고 나섰다. 이들 업체는 임신부 직원을 대상으로 근무시간을 단축하거나 출산 축하금을 지급하는 등 출산·육아를 장려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거나 강화하는 중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오스템임플란트는 서울 강서구 마곡 사옥 내 식당, 주차장 등에서 임신부 직원을 배려하는 정책을 시행 중이다. 우선 사내식당에 임신부 배려석을 조성해 임신부 직원이 언제든 이용할 수 있도록 일정 좌석을 항시 비워 놓고 있다.


오스템임플란트, 핑크색 사원증 임신부 직원 배려

또한 임신부 직원은 정해진 신청·배정 기간과 상관없이 신청하기만 하면 곧바로 전용 주차 공간이 주어진다. 아울러 핑크색 사원증을 착용한 임신부 직원들이 엘리베이터, 카페, 휴게실 등을 이용할 때 배려 받을 수 있도록 캠페인도 진행한다. 지난해 9월부터 회사 내 어린이집도 운영 중이다.

오스템임플란트 관계자는 "그동안 출산·육아 지원 정책을 다양하게 시도하는 과정에서 실수요자 입장에서 만족도를 높이고 이용 장벽을 낮추는 세심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며 "임신부 직원 의견을 적극 수용하고 도입이 시급하거나 확대가 필요한 정책을 빠르게 시행하도록 노력한다"고 말했다.

고운세상코스메틱은 임신부 직원을 위한 단축근무 제도를 운용한다. 실제로 임신을 확인한 날부터 임신 전 기간 내내 하루 2시간씩 단축근무를 적용해 일과 휴식에 있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아울러 법적으로 1년을 부여하는 육아휴직은 최대 2년까지 받을 수 있도록 배려한다.

본인 혹은 배우자 출산 당일 축하의 마음을 담은 과일바구니와 함께 젖병과 양말, 딸랑이, 기저귀 등 육아용품을 담은 '베이비키트'를 제공한다. 이렇듯 임신부 배려 정책을 실시하면서, 전체 직원 중 8%가량이 육아휴직 중이다. 최근 3년 간 육아휴직자 복직률은 80%에 달했다.

고운세상코스메틱 관계자는 "전체 직원 중 여성 비율이 80%인 여성친화기업답게 출산과 육아를 장려하면서 임신부와 워킹맘이 일하기 좋은 조직문화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제도를 운용 중"이라고 말했다.

고운세상코스메틱, 임신부 하루 2시간 단축근무

파마리서치는 임직원이 출산하면 축하금을 지급하는 사례다.

지난해부터 '든든 출산·육아 지원 프로그램' 제도를 운용하며 자녀 수에 따라 300만원, 500만원, 1000만원을 차등 지급했다. 하지만 올해부터 이를 자녀 한명 당 1000만원 지급으로 통일했다.

자녀 양육 지원금도 운영 중이다. 자녀가 만 8세가 될 때까지 1명 10만원과 2명 30만원, 3명 50만원씩 매달 지원한다. 육아기 직원 편의를 위한 사내 어린이집 도입도 검토 중이다. 그동안 만 8세 이하 자녀를 둔 여성 직원을 대상으로 시행하던 탄력근무제와 선택적 단축근로제는 최근 전 임직원으로 대상 범위를 넓혔다.

이렇듯 기업들이 출산·육아 지원 강화에 나선 것은 최근 저출산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출산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중 최하위다. 우리나라 출산율은 △2018년 0.98명 △2019년 0.92명 △2020년 0.84명 △2021년 0.81명 △2022년 0.78명 등 꾸준히 하락세다.

특히 지난해 출산율은 0.72명으로 추정된다.
현 추세라면 지난 2022년 기준 5167만명에 달했던 인구는 50년 뒤에 3652만명까지 줄어들 전망이다. 이로 인해 ‘국가 소멸 위기’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기업들이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출산·육아 지원 프로그램을 도입하거나 강화하는 추세"라며 "저출산이 단기적인 문제가 아닌, 중장기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제도를 마련하는 사례도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butter@fnnews.com 강경래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