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청와대

尹 "日·러시아 사고 났지만 지금은 그런 원전 없다"..안정성 강조

김학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2.22 12:15

수정 2024.02.22 12:19

윤 대통령, 원전 관련 민생토론회 참석
"저도 탈원전 잘 몰랐다, 경제에 악영향"
"원전 지원 잘 이어지게 국민 잘 설득할 것"
"원전 없이는 값 싸고 양질의 전기공급 불가능"
윤석열 대통령과 참석자들이 22일 경남 창원시 경남도청에서 '다시 뛰는 원전산업 활력 넘치는 창원·경남'을 주제로 열린 열네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주제 발표를 듣은 뒤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참석자들이 22일 경남 창원시 경남도청에서 '다시 뛰는 원전산업 활력 넘치는 창원·경남'을 주제로 열린 열네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주제 발표를 듣은 뒤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22일 "일본과 러시아에서 사고가 있었지만 지금은 그런 원전은 없다"고 강조,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고 단언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경남도청에서 '다시 뛰는 원전산업, 활력 넘치는 창원·경남'을 주제로 열린 열네 번째 민생토론회에서 "원전의 안전성이라는 건, 지금 인류가 원자력을 개발해 사용한 지가 엄청나게 오래됐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전임 문재인 정권에서 추진했던 탈원전 정책에 대해 윤 대통령은 "국민들께서 잘 인식 못한 상황에서 탈원전 정책이 막 추진됐다. 저 역시도 처음에 탈원전 추진할 때는 잘 몰랐다"며 "제가 공직생활을 오래 하면서도 그쪽 분야를 몰랐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 저도 나중에 월성원전 사건이 감사원에서 검찰로 수사의뢰돼 그 사건 처리를 위해서 자료도 보니까 '정말 탈원전이라는 게 큰일날 일이구나' 그때 깨달았다"며 "잘 모르면 이런 정책을 밀어붙일 수가 있다. 경제와 민생에 악영향을 주는 건지 잘 모른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제 국민들께서 많이 인식하셨다"면서 프랑스의 경우 생산 전기의 75%가 원전에 의존하고 있음을 언급했다.

독일의 사례에 대해 윤 대통령은 "독일은 완전히 탈원전을 하면서 러시아에서 가스를 받아서 썼다"며 "독일이 통일을 하기 위해 러시아와의 협상이 필요했기 때문에 러시아 가스를 대규모로 받아서 산업에너지로 썼는데 지금은 후회를 많이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권에 관계없이 원전 산업에 대한 지원 연속성에 대해 윤 대통령은 "정권이 바뀔지 안 바뀔지는 국민들이 선택하는 문제라서 제가 말씀드리기는 어렵다"면서도 "하여튼 원전 지원과 또 연구자들이 계속 연구할 수 있도록 우리 정부와 기관은 최선을 다하고 잘 이어질 수 있도록 국민들에게도 잘 설득하겠다"고 다짐했다.


윤 대통령은 "원전 없이는 값싸고 양질의 산업형전기를 공급할 수 없다"며 "원전은 단순히 원전이 아니라 우리 산업의 기반"이라고 강조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김윤호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