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경기 침체 등 경제 사정 ‘제각각’
물가 높은 뉴질랜드, 호주 긴축 기조 유지
日, 4월에 마이너스금리정책 종료할 듯
영국, 캐나다는 물가보다 경제에 집중
[파이낸셜뉴스]글로벌 중앙은행들의 행보가 엇갈리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시작된 금리 인하부터 지난해까지 이어진 긴축 국면까지 각국의 통화정책이 지난 4년간 한 방향으로 움직인 것과 달리 최근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와 경기 침체 가능성 등 각국의 경제 상황이 달라지면서다.
물가 높은 뉴질랜드, 호주 긴축 기조 유지
日, 4월에 마이너스금리정책 종료할 듯
영국, 캐나다는 물가보다 경제에 집중
■‘매파(긴축 선호)’’ 신호 커지는 뉴질랜드, 호주, 일본
뉴질랜드의 인플레 압력은 이민자들의 유입이 기록적으로 커지면서 임대주택 수요가 많이 늘어난 데 기인한다. 펜데믹 종료 이후 늘어난 뉴질랜드의 이민자는 지난해 연간으로 12만명 넘게 순유입돼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홍콩상하이은행(HSBC)은 RBNZ가 인플레이션을 목표치 수준으로 내리기 위해 2025년까지 금리를 인하하지 않을 것으로 평가했다.
호주의 상황도 비슷하다. 호주 중앙은행(RBA)은 지난 6일 기준금리를 4.35%로 동결하면서도 미셸 블록 총재는 “추가 금리 인상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호주의 물가상승률은 지난 1월 전년 동월 대비 3.4% 상승하며 시장 전망치(3.6%)를 하회했으나 지난해 4·4분기 기준 4.1%로 물가 목표 범위(2~3%)를 1%p 넘게 상회한 상태다.
마이너스 금리를 유지 중인 일본도 오는 4월에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연간 CPI가 3.1%를 기록하며 41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고 올해 춘투(임금 협상) 시작으로 소비 개선세가 확인되는 4월에 기준금리 인상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일본 중앙은행(BOJ)는 지난 2016년 1월에 단기금리를 0%에서 -0.1%로 내린 이후 7년째 마이너스 금리를 유지 중이다.
강영숙 국제금융센터 선진경제부장은 “마이너스금리정책(NIRP) 종료 시점은 구마모토 지진 영향 및 춘투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2026년 물가 전망도 발표되는 4월 회의가 될 가능성이 높다”며 “미 경제의 연착륙 시나리오가 지배적인 시각으로 변화한 가운데 엔저 심화로 정책전환을 연기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비둘기(완화 선호)’’ 색채 진해지는 영국, 캐나다, 중국
영국의 경우 지난 1월 물가상승률이 4.0%로 미국과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 대비 여전히 높은 수준이나 예상치(4.2%)를 밑돌았다. 장기간의 고금리로 인한 경기 침체에 물가상승률이 둔화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물가가 반드시 2%대로 떨어지지 않아도 금리를 내릴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지난달 20일 앤드류 베일리 BOE 총재는 영국 의회에 출석해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인 2%에 도달하기 전에 금리를 내리기 시작할 수 있다”고 밝혔다.
캐나다도 최근 물가상승률이 둔화되면서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지는 곳이다. 지난달 1월 캐나다 물가상승률은 2.9%를 기록하며 시장 예상치(3.3%)를 밑돌았다. 지난달 20일(현지시간)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물가상승률이 7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며 “캐나다 중앙은행이 올해 금리 인하를 시작할 것이라고 낙관한다”고 밝혔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지난달 20일 기준금리격인 대출우대금리(LPR) 5년물 금리를 연 4.2%에서 연 3.95%로 인하했다. LPR은 시중은행 우량 고객 대상 대출금리의 평균치로 사실상 중국의 기준금리다. 앞서 인민은행은 지난해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연속 LPR 5년 만기를 4.20%로 동결했으나 최근 전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를 상회하는 부동산 시장이 냉각되면서 유동성 공급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