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증원 강행 땐 교육체계 파국”… 부산대 교수 사직 결의

권병석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3.19 19:20

수정 2024.03.19 19:20

정부에 '조건 없는 대화' 재차 촉구
부산대병원 교수진이 전국 의과대학 입학정원을 2000명 확대하겠다는 정부 방침에 반발하면서 사직을 결의했다.

부산대 의과대학 교수협의회, 부산대 교수회, 양산부산대병원 교수회는 19일 부산대 양산캠퍼스 의과대학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25일부터 자발적으로 사직서를 제출한다고 밝혔다.

교수협의회는 전날 의대 교수 555명에게 사직 여부를 묻는 설문조사를 했다. 조사 결과 참여한 356명의 79.5%가 자발적 사직 의사를 밝혔다.

교수협의회는 "자유민주주의에는 책임과 의무가 따르지만 직접 필수의료를 담당해온 교수와 전공의들의 간절한 호소를 무시하고 이해할 수 없는 정책을 고집하며 질주하는 정부에 의한 자유민주주의 파괴에는 저항하지 않을 수 없다"고 사직의 이유를 밝혔다.

다만 이들의 사직에도 중증환자를 돌본다든가 응급실을 지켜야 하는 의사들은 끝까지 남을 것으로 보인다.


교수협의회는 의대 교육체계를 고려했을 때 정부에서 주장하는 2000명 증원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들은 "매년 3058명을 양성하는 한국의 의대가 1년 만에 2000명을 더 양성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며 "부산대 의대의 경우 강의실, 해부용 시신 실습실 등 시설 모두 현 정원인 125명에 맞춰져 있으며 10∼20%의 여유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들은 또 "지금도 부족한 교육인력이 갑자기 늘어날 수 없다"며 "한 교과목을 가르치기 위해 30명 이상의 교수가 고도로 협력해 움직여야 하는데, 이런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증원하면 결국 의대 교육체계의 파국을 야기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시설 확충에는 4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게 교수들의 주장이다.

이날 빈 강의실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교수들은 흰색 가운을, 의대생들은 검은 계열의 옷을 입은 채 '의사는 국민을 이길 생각이 없습니다' '대통령은 대화에 나서라'라는 내용의 팻말을 들었다.


교수협의회는 재차 대화를 촉구하기도 했다. 앞서 지난 11일 부산대 의과대와 병원 교수들은 정부에 조건 없는 대화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이들은 "교수들은 끝까지 환자 곁을 지키고 싶다"며 "정부가 조건 없는 토론에 나선다면 전공의와 학생들을 설득할 것"이라고 말했다.

bsk730@fnnews.com 권병석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