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청와대

尹, 의대증원 전향적 입장 밝혀.."타당한 방안 가져오면 논의"

김학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4.01 11:57

수정 2024.04.01 12:00

윤 대통령 '국민께 드리는 말씀'
2천명 의대 증원 규모 논의 시사
"정부 정책은 늘 열려있다"
총선 앞두고 여당 촉구에 윤 대통령, 전향적 입장
의료계에 "2천명에서 줄이려면 확실한 근거 갖고 통일된 안 제안해야"
윤석열 대통령이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의료개혁 관련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의료개혁 관련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일 의사 증원 규모와 관련, 의료계를 향해 "더 타당하고 합리적인 방안을 가져온다면 얼마든지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혀 전향적인 자세를 보였다.

그동안 연간 2000명 의대 증원 규모에 대해 불변 입장을 밝힌 윤 대통령이 의료계에서 합리적인 방안을 가져올 경우 논의할 수 있다는, 유연한 대응 방침을 시사한 것이다.

의료계를 향해선 의대 증원 규모를 기존 2000명에서 줄이려면 통일된 안부터 가져올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는 총선을 앞두고 여당에서 거듭 촉구해온 것을 수용한 것으로, 윤 대통령이 의료계와 의사 증원 규모에 대해 논의해볼 수 있음을 밝혀 이제 공은 의료계로 넘어갔다는 평가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청사에서 가진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정부의 정책은 늘 열려있는 법"이라며 "더 좋은 의견과 합리적 근거가 제시된다면 정부 정책은 더 나은 방향으로 바뀔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윤 대통령은 "제대로 된 논리와 근거도 없이 힘으로 부딪혀서 자신들의 뜻을 관철시키려는 시도는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단언했다.

의료계에서 제시한 350명, 500명, 1000명 등 증원 규모에 대해 "이제 와서 근거도 없이 중구난방으로 여러 숫자를 던지고 있다"며 "뿐만 아니라 지금보다 500명에서 1000명을 줄여야 한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고 비판했다.

윤 대통령은 "의료계가 증원 규모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려면, 집단행동이 아니라, 확실한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통일된 안을 정부에 제안해야 마땅하다"고 촉구했다.

이번 윤 대통령의 이같은 전향적인 입장 제시는 여당에서 의대 증원에 대한 유연한 조정을 요청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의대 증원 조정에 대해 "의제에 제한을 두지 말고 건설적인 대화를 해야 한다"며 조정도 논의해야 함을 촉구한 바 있다.

1일 오전 서울 한 대형병원에 윤석열 대통령의 의료 개혁 관련 대국민 담화가 송출되고 있다. 연합뉴스
1일 오전 서울 한 대형병원에 윤석열 대통령의 의료 개혁 관련 대국민 담화가 송출되고 있다. 연합뉴스

윤 대통령은 여당의 이러한 촉구를 받아들이면서도 의료계를 향해 대화를 거듭 촉구하는 동시에, 불법 집단행동에 대해선 단호히 대응할 것을 압박했다.

윤 대통령은 "저는 의료개혁을 위한 대통령 직속 특별위원회 설치를 말씀드린 바 있다"며 "국민, 의료계, 정부가 참여하는 의료개혁을 위한 사회적 협의체 구성도 좋다"고 제안했다.

이어 전공의들을 향해 "이제 그만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돌아와 주기 바란다. 제가 의료 현장에서 만난 의사들은 헌신적인 분들이었다"면서 "의사단체는 하루라도 빨리 정부와 함께 테이블에 앉아 무엇이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위한 길인지 논의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의사 증원에 반발해 정권 퇴진까지 거론했던 대한의사협회를 향해 윤 대통령은 "이러한 행태는 대통령인 저를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을 위협하는 것"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대한의사협회는 그동안 정부와 수십 차례 의사 증원 문제를 논의하지 않았나"라면서 "심지어 총선에 개입하겠다며 정부를 위협하고 정권 퇴진을 운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정치라는 것이 무엇인가. 정치란 바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며 "국민을 불안하고 불편하게 만드는 구조적인 문제를 잘 알면서도, 이해집단의 저항에 굴복한다면 정치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정상적인 국가라고 할 수 없다"고 단언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