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소기업

백우열 플코스킨 대표 "의료기기 첨단소재분야서 최고 인정받을 것" [중기·벤처 'Why Pick']

강재웅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4.28 14:33

수정 2024.04.30 13:01

[파이낸셜뉴스]
백우열 플코스킨 대표 "의료기기 첨단소재분야서 최고 인정받을 것" [중기·벤처 'Why Pick']

플코스킨이 첨단 의료기기 분야로 글로벌 시장에 도전한다. 그간 우리나라는 의료기술 분야에선 세계 최고임을 자부해 왔지만 의료기기 분야에선 만큼은 상대적으로 뒤처져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플코스킨은 국내 최초로 3D 프린팅을 통한 의료기기를 제작해 의료기기 4등급 품목허가를 받은 기술력으로, 국내 상장은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사실 이 모든 것은 것은 의사 출신인 백우열 대표(사진)의 8년간의 사명감 가진 끈질긴 도전 정신이 있어 가능한 것이다.

백 대표는 "의료기기 기술 분야로 창업을 결심하는 의사 후배들이 주위에 많이 있다"며 "성공사례를 만들어 의료기기 전문 분야에서 초석이 되길 바랄 뿐"이라고 겸손해 했다.

최고 등급 의료기기 분야서 상용화 '우뚝'
플코스킨은 의료기기 분야에서 기술력을 과시하고 있다.


설립 8년차인 플코스킨은 첨단재생의료와 연부조직 재건을 위한 첨단 재생용 체내이식 소재 개발 스타트업이다. 주력 상품인 '티슈덤 메쉬(TissueDerm Mesh)'는 3D 프린터를 이용해 콜라겐 시트와 폴리카프로락톤(PCL) 메쉬를 결합시킨 하이브리드형 메쉬다. 근육이나 복벽과 같이 손상된 연조직의 보강 및 재건에 사용한다.

하이브리드형 메쉬는 풀코스킨이 국내 최초로 개발해 의료기기 4등급으로 품목허가를 받았다. 외과적 수술 이후 피부가 꺼지는 현상이나 뼈가 만져지는 등 다양한 연조직 재건이 필요한 상황에서 주요하게 사용된다.

특히 인공 소재를 활용하는 티슈덤은 유방 재건용 사체유래진피 사용에 따른 고비용, 염증반응, 수급 불균형 등의 문제들을 해결한다. 또한 생분해성 소재 사용으로 체내 유착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백 대표는 "암 수술 뒤 조직을 제거하면 움푹 파지는 현상이 나타나 미관상 좋아 보이지 않는다"며 "이를 방치할 경우 욕창 등 2차적인 외상이 발생해 연부조직 재건을 위해 플코스킨 제품을 사용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특히 인체 적용후 자연발생적으로 녹아 없어져 6개월 정도 지나면 조직으로 재생되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백 대표는 꼽았다.

인체에 투여되는 만큼 고도의 기술력 뿐 아니라 임상학적 데이터가 필요하다.

백 대표는 "플코스킨과 같은 제품은 국내에선 찾아 볼 수 없다"며 "플코스킨은 200회 이상 인체에 적용했으며 인허가를 받아야 할 것은 다 받은 상태"라고 강조했다.

미국·유럽 해외 시장 공략

플코스킨은 상장도 준비도 착실하게 준비중이다.

백 대표는 "내년 100억 정도의 매출을 기반으로 기술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며 "마련된 자금으로 미국, 유럽, 일본 등 해외진출에 집중할 계획이다"고 설명했다. 플코스킨의 지난해 매출은 6억원으로, 올 1·4분기까지 30억원 수준을 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재생 의료기기 시장은 의료 분야 특성상 지속적으로 상용할 수 밖에 없는 만큼 플코스킨의 시장 점유율을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인체조직 및 재생의학 시장은 전세계적인 시장 규모가 증가하고 있으며, 유럽과 북미 내 연관 기업의 성장과 투자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일례로, 유방재건술과 탈장수술에 쓰이는 제품을 만드는 재생의학사인 라이프셀사를 글로벌 의료기기 회사인 엘러간사가 2016년 3조에 인수한 바 있다.

해외 시장에도 본격화한다.
대상 국가는 유럽과 미국이다.

백 대표는 "자금 수혈이 이뤄지면 해외 진출을 위해 준비중에 있다"며 "한국에서 제조해 해당 국가에 제품을 수출하는 것이지만 상황에서 따라선 현지 제조공장을 두는 것도 검토중"이라고 설명했다.


백 대표는 "이어 첨단소재 개발은 미국이나 유럽이 잡고 있어 이들 국가 진출을 우선순위로 두고 있다"며 "임상 데이터를 토대로 해외 시장 진출을 검토해 올해는 해외 시장을 공략을 준비하는 한 해가 될 것"이라고 각오를 밝혔다.

kjw@fnnews.com 강재웅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