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펀드·채권·IB

채권에 역전된 주식···국내 투자 펀드 지형 바뀌었다

김태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4.29 17:00

수정 2024.04.29 17:00

이달 19일 종가 기준 처음 따라 잡혀
2022년말에만 해도 18조 이상 격차
채권형 성장, 해외주식형 다양화 등도 악재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국내주식형이 국내 공모펀드 시장에서 힘을 잃고 있다. 기본적으로 국내 주식시장에 선호가 떨어지면서 간접투자 영역까지 흔들린 결과다. 몇년 사이 큰 폭으로 성장한 채권형, 다양한 테마로 무장한 해외주식형 등에 밀린 영향도 있다.

29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주식형 펀드 설정액(26일 기준)은 47조1773억원으로 집계됐다. 국내채권형 펀드(47조5546억원)에 뒤지고 있다. 지난 19일 종가 기준 처음으로 역전된 이후 같은 구도가 유지되고 있다.


설정액은 가입자가 상품을 굴리는 운용사에 맡긴 투자원금으로, 지표 하락은 자금 유출로 해석된다. 지난해 말 해당 수치는 각각 47조2643억원, 40조9553억원으로 6조3090억원의 차이가 났다. 2022년 말(18조2137억원)이나 2021년 말(12조3980억원)에는 그 격차가 더 컸다.

국내주식형 가운데 액티브 유형에서 격차가 크게 축소됐다. 2022년 말 15조2278억원이었던 전체 펀드 합산 설정액은 약 4개월 만인 이달 26일 13조8379억원으로 9% 이상 빠졌다. 이 기간 인덱스 유형의 설정액은 32조2959억원에서 33조3395억원으로 3.2% 증가했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투자자들은 국내주식에 대해 지배구조(거버넌스), 불공정거래 등 문제가 돌발적으로 터질 수 있단 우려를 가지고 있다”며 “대표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 등 인덱스 상품이 결국 장기전에선 이긴다는 인식도 작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2년 간의 수익률을 비교해보면 액티브와 인덱스 펀드는 각각 3.24%, 6.97%를 가리키고 있다.

ETF 역시 사정이 다르지 않다. 국내주식형 상품의 순자산총액이 같은 기간 37조3391억원에서 46조2715억원 23.9% 늘어났지만 국내채권형은 11조6369억원에서 27조3286억원으로 134.8%나 몸집이 커졌다. 해외주식형 역시 17조9371억원에서 30조9378억원으로 72% 넘게 불었다.

특히 ETF는 상품 자체가 하나의 상장주식으로 취급받고 있다. 주식과 동반 성장하는 주체라기보다 경쟁 상품에 가까운 경향성을 보이는 이유다.

근본적으로는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불신이 간접투자 수단인 펀드로 옮겨 붙은 결과로 해석된다. 좀처럼 해소되지 않는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증시 저평가)’가 펀드시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뜻이다.

실제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021년 6769조원에 달했던 국내 증시 연간 매수액은 2022년 3914조원으로 '뚝' 떨어졌다. 지난해 4809조원으로 회복했으나 여전히 5000조원을 밑도는 형편이다.


지난 2~3년간 정책·시장금리가 급히 오르며 개인들의 채권투자 선호가 확대됐고, 과거에 접하기 어려웠던 신흥국이나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같은 산업에 투자하는 일반 공모펀드와 ETF가 등장하면서 국내주식형 투자 요인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기도 했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