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전자피부를 늘리고 휘어도 무선통신이 잘된다

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5.23 00:00

수정 2024.05.23 00:00

한양대 연구진, 세계 최초 신축성 기판으로 만든 전자피부 개발
90m 이상 떨어진 거리에서도 무선 통신으로 인체신호 측정해
한양대 정예환·유형석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신축성 웨어러블 기기는 아무리 늘려도 장거리 무선 통신과 고효율 무선 전력 수신 기능을 유지했다. 한양대 정예환 교수 제공
한양대 정예환·유형석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신축성 웨어러블 기기는 아무리 늘려도 장거리 무선 통신과 고효율 무선 전력 수신 기능을 유지했다. 한양대 정예환 교수 제공

[파이낸셜뉴스] 한양대 정예환·유형석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고무처럼 형태를 변형해도 무선통신 성능을 유지하는 전자피부를 개발했다.

이 전자피부는 그동안 만들어내지 못했던 90m 이상의 장거리에서도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특히 개발한 전자피부를 이용해 뇌파, 신체 움직임, 피부온도, 근육신호 등 우리 몸에서 나오는 인체 신호들을 원거리에서도 무선으로 정확히 측정해냈다.

23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공개한 전자피부는 그동안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세계 최초의 기술로 마음대로 늘리거나 줄여도 무선통신 성능을 유지하는 기판으로 만들었다.
이 기판은 신축성을 가진 고무 재질의 기판에 세라믹 나노입자를 혼합하고 나노입자가 무리지어 조립되는 공정을 사용했다.

전자피부 기술을 기반으로 한 웨어러블 기기는 의료, 건강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웨어러블 기기가 제대로 동작하려면 신축성을 갖는 무선 주파수(RF) 소자와 회로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무선주파수(RF) 회로는 고주파에서 동작하는 특성상 아주 조금만 늘어나거나 구부러지기만 해도 회로의 작동 주파수 대역이 변화해 통신이 끊기거나 전력 송수신 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진다. 이 때문에 피부 표면과 같이 물리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에서 제 기능을 수행하려면 신축성을 가지면서 어떠한 조건에서도 무선통신 성능을 유지하는 기술개발이 꼭 필요한 상황이다.

물리적인 변형에도 무선통신 성능이 유지되려면 변형된 크기에 맞게 회로 기판의 전기적 특성도 바뀌어야 하는데 지금까지 보고된 연구는 회로 기판의 특성이 간과되어왔다. 연구진은 오랫동안 관심을 갖고 연구한 고주파 공학과 웨어러블 기기 분야에 대한 경험을 살려 새로운 회로 기판을 연구하기 시작했고, 소재 분야 연구진과 협업하기 위해 공동 연구팀을 구성해 전자피부를 완성했다.


한양대 정예환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신축성 웨어러블 무선통신 기술은 무선 기능이 필요한 다양한 신축성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며 "차세대 통신 기술인 6G 이동통신 기능을 탑재한 신축성 무선 웨어러블 기기 개발에도 착수했다"고 말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