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동통신 표준을 개발하는 국제단체인 3GPP가 한국에서 개최한 '6G 워크숍'과 '기술총회'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17일 밝혔다.
3GPP는 전세계 이동통신 표준개발기구로, 2030년께 상용화 예정인 6세대(G) 이동통신 기술표준을 개발 중이다.
이번 3GPP 기술총회에서는 삼성전자 김윤선 마스터가 ‘무선접속망(RAN)’ 총회 의장에, LG전자 김래영 책임 연구원이 ‘서비스 및 시스템(SA)’ 총회 부의장에 선출됐다. 총회별 의장은 1명, 부의장은 3명이며 임기는 2+2년으로 통상 4년을 수행한다.
우리나라가 3GPP 기술총회의 의장에 당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무선접속망(RAN) 기술총회는 통상 3GPP 특허의 70~80% 정도를 점유하는데, 해당 총회에 한국인 의장이 선출된 것은 표준 주도권 경쟁에 있어 우리나라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6G 표준화 작업을 위한 본격적인 첫발이었던 3GPP 6G 워크숍에서는 6G 기술 관련, 인공지능(AI)·클라우드 내재화, 소프트웨어 기반 네트워크, 비용 효율적 시스템 진화, 유비쿼터스 연결 기술 등이 제시됐다.
국내 이동통신 3사와 삼성전자, LG전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국내 산업계가 강조한 △AI와 6G의 결합 △에너지 절감 기술 △6G 단독모드(SA) 구조 등이 6G의 핵심 연구항목에 포함됐다. 지상망(TN)과 비지상망(NTN) 결합도 6G 초기 연구에 담겼다.
과기정통부의 6G 연구개발(R&D) 사업에서 중점적으로 개발 중인 7~24GHz 지원을 위한 무선망 특성 연구도 시작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정부에서 선도적으로 투자한 연구 성과가 향후 국제표준으로 반영될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