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한화그룹 3형제가 지난 29일 방한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장남 트럼프 주니어와 회동했다. 미국과 방산·조선·에너지 분야의 교류를 다지며 북미 시장 공략 포석을 마련한 것으로 관측된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김동선 한화갤러리아·호텔앤드리조트 미래비전총괄 부사장은 이날 오전 서울 강남 조선팰리스 호텔에서 트럼프 주니어와 면담하며 대미 사업 강화에 나섰다.
한화 3형제는 총수들 중 가장 먼저 면담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주니어와 접견실에서 45분간 면담을 진행했다.
미국 필리조선소를 인수한 한화그룹은 미국과의 조선업 협력에 가장 앞서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K-조선에 러브콜을 보내는 등 상선 건조와 더불어 미 해군 함정 건조 사업까지 협력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조지아주에는 태양광 생산기지 '솔라허브'를 구축하고 있다. 미국산 태양광 제품 우선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이 프로젝트는 미국 내 생산 비중을 70%까지 끌어올리는 전략의 핵심으로 꼽힌다. 태양광 밸류체인 중 폴리실리콘을 제외한 잉곳·웨이퍼·셀·모듈을 모두 생산한다. 연방정부의 인센티브와 세제 혜택 확보가 주요 과제로 꼽힌다.
한화그룹은 지난달 말 김승연 회장의 지분 인도로 김동관 부회장(방산·조선·에너지), 김동원 사장(금융), 김동선 부사장(유통·로봇·반도체 장비)간 3세 경영 승계가 이뤄졌다. 이들은 트럼프 주니어와 미국 사업 확대 의지와 더불어 협력을 요청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 부회장은 면담 이후 한화오션 거제사업으로 이동해 방한 중인 존 펠란 미 해군성 장관과도 만난다. 김 부회장은 앞서 지난 1월 워싱턴DC에서 열린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과 만찬, 무도회 등에 참석하면서 마크 루비오 국무부 장관,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 지명자,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 등 정·재계 고위 인사들과의 인맥을 다졌다.
이번 면담은 대기업은 개별 면담, 중견한편, 기업은 집단 면담 방식으로 이뤄지며 각 면담은 30분에서 1시간가량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해진 네이버 의장,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부사장), 이재현 CJ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등 30대 그룹 총수급 인사 20여명이 참석한다. 조원태 대한항공 회장을 비롯해 구자은 LS 회장,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등 미국 사업 비중이 높은 그룹도 면담을 진행할 것으로 관측된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