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오세희 의원 공동 700개사 조사
뿌리기업 90.1% 전기료 인상부담
그럼에도 76.4% 대금인상 요청 못해
뿌리기업 90.1% 전기료 인상부담
그럼에도 76.4% 대금인상 요청 못해

[파이낸셜뉴스] 뿌리기업 10곳 중 9곳은 납품대금 연동대상에 전기료 포함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24일 더불어민주당 오세희 의원과 공동으로 5대 뿌리기업 7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납품대금 연동제 적용대상 전기료 포함 정책 수요조사'에 따르면 뿌리기업 90.0%가 "납품대금 연동대상에 전기료를 포함해야"한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최근 산업용 전기료가 급등한 가운데, 뿌리업종의 전기료 비중 및 부담 실태를 파악하고, 납품대금 연동제 적용대상을 전기료까지 확대하는 정책에 대한 뿌리 중소기업계의 의견을 묻기 위해 실시했다.
조사 결과, 뿌리기업 81.4%가 제조원가 대비 전기료 비중이 1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뿌리산업 유형별로 제조원가 대비 전기료 비중이 10% 이상인 기업 비율은 열처리 산업이 99.3%로 가장 높았다.
특히 열처리 산업과 표면처리 산업은 전기료 비중이 20% 이상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50% 이상이었다. 산업용(을) 고압A 기준 전기요금은 2022년 1·4분기 105.5원/kWh에서 지난해 4·4분기 174.0원/kWh로 인상됐다. 이 같은 산업용 전기료 인상에 대해 업체 10곳 중 9곳이 경영상 부담을 느꼈다고 응답하였다.
전기료 인상분을 위탁기업에 납품대금 인상을 요청했는지 묻는 질문에 뿌리기업 10곳 중 7곳이 넘는 업체가 '요청하지 못했다'고 응답했다. 이유로 69.3%가 '거래처와의 관계 악화 우려로 요청 시도 자체가 어려움'을 꼽았다.
전기료 인상분이 납품대금에 반영되지 못한 경우 대처 방식으로는 '특별한 대처방법 없음'이 70.1%로 가장 높았다. '거래 지속을 위해 원가 이하로 납품'이 25.4%로 그 뒤를 이었다. 납품대금 연동대상에 전기료가 포함돼야 하는지 묻는 문항에서는 뿌리기업 90.0%가 '포함돼야 한다'고 답했다.
납품대금 연동대상에 전기료가 포함돼야 하는 이유(복수응답)에 대해서는 △납품대금 제값받기라는 납품대금 연동제 도입 취지에 부합(52.9%) △정부 전기료 부담 완화 정책은 예산 상황에 따라 한시적이라 장기적 해결책이 되기 어려움(39.2%) △현행 연동제는 원재료에만 국한되어 비용 상당부분이 반영되지 못함(36.0%) 순으로 조사됐다.
납품대금 연동제에 전기료가 포함될 경우, 뿌리기업 10곳 중 8곳이 '납품대금 연동제 활용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양찬회 중소기업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지난 2023년 10월 중소기업계 14년 숙원이었던 납품대금 연동제가 시행됐는데 연동대상이 '주요원재료'로 한정되다 보니 전기를 실질적인 '주요원재료'로 사용 중인 뿌리업종은 납품대금 연동제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며 "국회도 뿌리업종 경영 상황을 공감해 '납품대금 연동제 전기료 포함' 법안을 발의한 만큼, 조속한 입법 보완이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butter@fnnews.com 강경래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