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융합 검색결과 총 2070

  • 부민병원그룹 주관 '제3회 로봇인공관절수술 심포지엄' 성료
    부민병원그룹 주관 '제3회 로봇인공관절수술 심포지엄' 성료

    [파이낸셜뉴스] 대한정형외과 컴퓨터수술학회(회장 문영완)가 주최하고 부민병원그룹(이사장 정흥태)이 주관한 '제3회 로봇 인공관절수술 심포지엄'이 지난 15일 63컨벤션센터 4층 라벤더홀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고 18일 밝혔다

    2024-06-18 16:00:29
  • "민선8기 전반기는 '역동의 시간'...후반기는 보다 과감하게"
    "민선8기 전반기는 '역동의 시간'...후반기는 보다 과감하게"

    [파이낸셜뉴스 대전=김원준 기자] 이장우 대전시장이 민선 8기 전반기 2년의 주요 성과로 2년 연속 국비 4조원 확보와 글로벌 바이오기업 머크 및 차세대 배터리 기업 SK온 등 굴지의 국내외 기업 투자유치 등을 꼽았다. 후반기에는

    2024-06-18 14:53:45
  • 나이벡, '바이오 USA'서 머크 등 빅파마와 파트너십 논의
    나이벡, '바이오 USA'서 머크 등 빅파마와 파트너십 논의

    [파이낸셜뉴스] 글로벌 임상2상을 앞둔 나이벡의 재생기전 기반 펩타이드 치료 신약 ‘NP-201’과 표적 단백분해기전 항암제가 올해 '바이오 USA'에서 머크(MSD)와 아스텔라스 등 글로벌 빅마파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

    2024-06-12 10:23:55
  • 중앙대, 첨단소재·나노융합 분야 혁신융합대학 선정
    중앙대, 첨단소재·나노융합 분야 혁신융합대학 선정

    [파이낸셜뉴스] 중앙대학교가 4년간 총 408억원에 달하는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첨단소재·나노융합 분야를 이끌어갈 인재들을 양성하게 됐다. 중앙대는 최근 교육부가 주관하는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COSS, Converg

    2024-06-05 09:19:33
  • 순천향대천안병원, 난소암 치료표적 발굴·신약 개발 착수
    순천향대천안병원, 난소암 치료표적 발굴·신약 개발 착수

    [파이낸셜뉴스] 순천향대 천안병원은 최근 난소암의 새로운 치료표적 발굴과 신약 개발에 나섰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는 ‘멀티오믹스 기반 난치암 맞춤형 진단치료 상용화 기술 개발 사업’ 선정에 따른 것으로 오는

    2024-05-29 09:02:31
  • KAIST, 국내 최대 규모 첨단 양자팹 설립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국내 최대 규모의 양자팹이 들어선다. KAIS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 구축 사업'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올해부터 2031년까지 8년간 국비 234억원

    2024-05-27 18:28:44
  • 국내 최대 양자팹, KAIST에 들어선다
    국내 최대 양자팹, KAIST에 들어선다

    [파이낸셜뉴스]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국내 최대 규모의 양자팹이 들어선다. KAIS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 구축 사업'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올해부터 2031년

    2024-05-27 10:03:37
  • '우주사업 이관' 과기정통부, 원자력 연구 힘 싣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우주항공청 개청에 맞춰 우주 관련 사업을 우주항공청에 이관하고 앞으로 원자력과 핵융합 등 미래에너지 사업에 집중한다. 과기정통부는 1차관 아래에 있는 연구개발정책실을 14과에서 12과로 바꾸는 등 '과기정통부

    2024-05-26 18:21:38
  • 우주청 개청...과기정통부 미래에너지에 집중
    우주청 개청...과기정통부 미래에너지에 집중

    [파이낸셜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우주항공청 개청에 맞춰 우주 관련 사업을 우주항공청에 이관하고 앞으로 원자력과 핵융합 등 미래에너지 사업에 집중한다. 특히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SMR) 신속 확보 및 비경수형 원자로의 체계적 확

    2024-05-26 10:35:50
  • 폭발 없는 차세대 배터리...1만번 충방전에도 끄떡없다
    폭발 없는 차세대 배터리...1만번 충방전에도 끄떡없다

    [파이낸셜뉴스] 광주과학기술원(GIST) 에너지융합대학원 박찬호 교수팀이 폭발 위험이 없는 무흐름 아연-브롬 수계 배터리의 양극재를 개발했다. 이 양극재는 1만번 이상 충방전 테스트에서도 평균 충방전 효율이 96%의 우수한

    2024-05-22 15:2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