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정보보호 체계,더 늦기전에 고치자] ⑦ <끝> IT기술로 정보보호망 구축한다

정상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8.05.25 18:55

수정 2014.11.07 03:35



지난해 4월 일본 경제산업성은 국경이 없어진 정보보호 위협 및 테러에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정보보호전략’을 수립했다. 정보보안이 국가경제 전략의 중심축이며 해킹 등의 침해사고는 곧 국가경제의 막대한 손실을 가져온다는 인식에서다.

여기엔 일본의 야심도 담겨져 있다. 향후에 국가 간의 정보보호 분쟁이 발생하면 이에 관한 국가 간의 협력에서 일본이 리딩해 가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가 연결된 미래 ‘정보가전’의 보안기술 등 2015년까지의 정보보호 기술개발 로드맵도 만들었다.

■선진국들 IT정보보안 기술 투자 확대

이처럼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들은 정보기술(IT)에서 정보보안 기술개발(R&D) 투자에 비중을 높이고 있다.
실제로 세계 정보보호 시장은 지난 2004년 이후 3년간 17.84%의 높은 성장률을 이어가고 있다. 이는 같은 기간 정보통신 전체시장의 6.7% 성장에 3배에 달하는 높은 성장률이다.

이에 비해 국내 IT 보안산업 시장은 지난해 7000억원 규모다. 국내 정보보호 시장이 과거 3년간 연평균 8.3% 성장했다. 물론 정보통신 시장 성장률인 4.2%의 2배 정도이지만 세계시장 성장률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하지만 IT가 아닌 전통산업 보안시장까지 보면 최소 3조원을 넘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보안산업의 폭발적 시장 확대가 예상되는 대목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전통산업 시장 중 하나인 영상보안시스템의 경우 국내시장은 지난해 2조원 규모였다. 금융보안 분야는 현금자동입출금기(ATM) 및 관리서비스만 따져도 3000억원에 달한다.

정보보호진흥원 동향분석팀 최승완 수석연구원은 “통신, 방송, 네트워크, 서비스, 기술 등이 융합되는 유비쿼터스(u) 환경인 ‘u-지식사회’에서의 u-지식은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자원”이라며 “이를 보호하기 위한 국가적인 기술 개발을 통한 주도권 확보가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말했다.

■맞춤형 정보보호기술 개발 절실

이같이 빠르게 성장하는 IT보안시장에서 무엇보다 ‘맞춤형 정보보호 기술’이 중요하다. 새로운 융·복합 서비스가 늘면서 개인프라이버시 침해, 유해정보 확산, 지능형 변종스팸 출현 등 수많은 정보보호 역기능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것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그렇다면 ‘맞춤형 정보보호기술’이란 뭔가. 크게 세 가지다. 우선 침해사고를 사전예방하기 위해선 △데이터베이스(DB) 보안 △검색을 빠르게 할 수 있는 데이터 암호화 △개인정보 침해 가능성을 자동으로 탐색하는 취약점 점검시스템 등의 기술이 필요하다.

또 침해사고 상시 모니터링 기술은 개인정보 노출 감시시스템, 개인정보 노출 차단, 권한을 가진 사람만 접근할 수 있는 정보 접근 제어 기술 등이 포함된다.

침해사고 재발을 막기 위한 사후관리 기술도 중요하다. 노출된 정보를 악용하는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추적 및 차단 기술, 법적 증거 수단 확보를 위한 디지털 포렌식 기술 등이다.

이같이 개발된 IT보안 기술은 얼마든지 융합이 가능하다. 보안로봇, 의료기기, 자동차, 모바일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IT보안기술은 필수부분으로 접목은 무궁무진하다.

일례로 방송, 데이터, 음성 등 서비스가 통합되는 모바일 단말 보안시장은 급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전세계 모바일 단말 보안 시장은 오는 2011년 9억5700만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평균 35%라는 높은 성장세다. 국내 무선·모바일 보안 시장도 2006년 36억원 규모에서 오는 2011년에는 93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모바일 단말 보안은 휴대폰, 노트북 등과 같은 이동 단말에서 파일 암호화, 디바이스 잠금·해제, 네트워크 접근제어 기능 등이 구현되는 것을 말한다.


이 같은 맞춤형 정보보호 기술개발을 위해 중요한 것은 실질적인 투자다. 정부의 지원뿐만 아니라 특히 민간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나서야 한다.


정보보호진흥원 IT기반보호단 원유재 단장은 “민간 기업들이 정보보호 기술 개발을 위한 펀드 마련 등 투자에 적극 동참해야 한다”며 “아울러 산·학·연 공동연구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여기서 나온 결과물을 활용해 국가 및 기업의 정보보호 수준을 높이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skjung@fnnews.com 정상균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