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로봇코리아’ 새 시장을 열어라] 이동근 지경부 성장동력실장

윤휘종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8.10.26 16:32

수정 2014.11.04 20:12



“옛 산업자원부의 제품 중심, 정보통신부의 IT서비스 중심 정책을 융합해 실용성 높은 로봇 개발과 상용화에 정책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 기업의 기술경쟁력을 선진국 수준으로 높이고 성장세를 확대해 5년 후에는 우리나라가 세계 3대 로봇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지식경제부 이동근 성장동력실장은 우리나라의 로봇산업 정책을 총괄하고 있다. 로봇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만들 묘안을 내느라 그의 머리 속은 늘 복잡하다. 요즘 그가 골몰하고 있는 과제는 정부의 로봇산업 육성정책을 구체화하기 위해 연말께 내놓을 ‘지능형로봇산업 발전 5개년 기본계획’. 지난 9월 신성장동력기획단이 제안한 발전전략을 바탕으로 한 기본계획 마지막 손질 작업이 한창이다. 이 계획엔 연구개발(R&D)자금 지원, 초기 시장 창출을 위한 공공기관 수요 확보, 인력양성을 위한 자금지원 등의 내용이 다 포함될 예정이다.


신성장동력기획단은 6대 분야 22개 산업을 대한민국의 신성장엔진으로 선정한 바 있다. 로봇도 그 속에 포함됐다.

정부가 이처럼 체계적인 로봇산업 발전 지원체제를 구축할 수 있게 된 건 신정부 들어 로봇산업 정책이 지식경제부로 일원화됐기 때문. 또 지난 9월 로봇특별법이 발효된 것도 정부 정책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 실장은 지능형로봇산업의 미래를 매우 밝게 본다. 그는 “우리나라는 서비스로봇 분야에서 세계 최고수준의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동차, 통신, 가전, 조선 등 로봇과 관련한 다양한 연계시장을 보유하고 있어 서비스로봇 분야의 선진국이 될 것으로 자신한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 로봇시장은 지난해 약 9300억원 규모. 일본, 미국 등에 이어 세계 5위 수준이지만 세계 평균성장률 16%를 상회하는 매년 35% 이상의 고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실장은 최근 경기가 침체돼 국내 로봇산업이 태동기부터 시련을 겪고 있는 점에 대해서는 걱정을 감추지 못했다. 국내 로봇산업의 90% 이상이 중소기업이고 주로 서비스로봇 개발에 치중하고 있지만 이들이 개발한 제품을 사 줄 시장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고 있기 때문. 사실 정부 대책도 이 문제에 집중돼 있다. 이 실장은 “서비스로봇 시장 조기창출과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공공부문 수요창출 사업과 로봇 활용문화 확산 및 시범서비스 사업을 병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지경부는 인천경제자유구역청, SK텔레콤 등과 함께 인천 송도에 T-시티를 조성해 차세대 로봇서비스를 구매할 계획이다. 또 테마파크형 로봇체험공간인 로봇랜드의 경우 현재 인천시와 마산시를 놓고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이다.
이 실장은 “로봇랜드 선정 작업이 당초 계획보다 지연되고 있으나 11월에는 로봇랜드가 들어설 곳을 최종 결정할 방침”이라며 “로봇랜드는 도로건설, 건축 등과 달리 전시장, 체험장, 경기장, 기업지원시설 등 비정형화된 복합시설이어서 조사·분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

/yhj@fnnews.com 윤휘종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