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막 오른 증권업계 구조조정..

김기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2.12.26 17:36

수정 2012.12.26 17:36

막 오른 증권업계 구조조정..

내년에는 증권업계의 구조조정이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이미 이트레이드증권, 리딩투자증권, 아이엠투자증권, 애플투자증권, 한맥투자증권 등 중소형 증권사들은 매각작업을 시작했다. 또한 내년 신정부 출범에 따른 금융산업 육성정책, 자본시장법 개정안 통과 여부가 증권사들의 신사업 모델 찾기를 위한 키포인트가 될 전망이다.

■수익성 악화 불가피

내년에도 증권사들의 경영난은 지속될 것이란 우려가 높다. 대부분 증권사들이 브로커리지(위탁매매) 비중이 절반에 이르는 '천수답식 경영'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투자자 실종에 따른 수익성 개선이 힘들다는 분석이다.

26일 IBK투자증권에 따르면 2012회계연도 주식시장 일평균 거래대금은 약 7조1040억원으로 추산된다.
내년 역시 7조7500억원으로 올해보다 늘어나지만 그 강도는 강하지 않을 전망이다.

현재 증권사들의 경쟁 심화로 브로커리지 수수료율이 역마진에 가까울 정도로 하락했고, 주식시장 거래대금이 저조해 수익성 회복이 쉽지 않은 국면이다. 자산관리(WM) 부문에서는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지속되면서 리테일머니의 신규 유입이 급감하고 있다.

이로 인해 올 상반기(4~9월) 증권업계 전체 순이익은 674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반토막 가까이 급감했다. 이에 대부분의 증권사들이 상반기부터 지점 축소, 구조조정 등을 통해 몸집 줄이기에 나섰다.

자기자본 대비 실질 수익성을 나타내는 자기자본이익률(ROE)도 16%로 전년도 34%에 비해 절반 넘게 줄었다.

장효선 삼성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투자은행(IB)들과는 달리 국내 증권사는 브로커리지 위주의 영업을 한다. 이로 인해 증권사 간 과도한 수수료 경쟁, 저렴한 온라인 거래 비중이 커지고 있어 수익성 악화가 계속되고 있다"며 "온라인 특화 증권사와 오프라인 위주의 증권사들 간 업종 내 극심한 양극화 현상도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10여개 증권사 구조조정 본격화

내년엔 중소형 증권사들을 중심으로 구조조정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최근 코리아RB증권이 하나은행 전직 임원들이 출자한 사모펀드(PEF) 케이앤드림파트너스에 매각됐다. 이트레이드증권은 최근 사모투자펀드 G&A가 투자회수를 위해 매물로 내놓았다.

다만 G&A가 4000억~4500억원대에 매각하기를 희망하고 있어 몸값이 다소 높아 매수자가 선뜻 나서지 않고 있다.

PEF인 에스엠앤파트너스가 지분 49.89%를 보유하고 있는 아이엠투자증권도 최근 매각 작업을 서두르고 있다. 영업실적 악화로 기업공개(IPO)가 무산된 리딩투자증권은 최근 실적이 적자인 데다 부실채권도 안고 있다는 점에서 단기간 내에 인수자가 나타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로 인해 시장에서는 내년 상반기 총 10여개의 증권사가 한꺼번에 매물로 쏟아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정책변수 관건

인수합병(M&A)을 통한 규모의 경제 실현도 불황 타개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국회에서 표류 중인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자본시장법)' 개정안과 신정부 출범에 따른 증권업에 대한 정책변수를 눈여겨봐야 한다.

아직 증권산업 규제에 대한 정확한 정책은 나오지 않았지만 증권가에서는 글로벌 IB육성을 비롯해 대체거래소(ATS) 설립 등 자본시장과 금융산업 전반의 발전을 도모하는 내용이 담긴 자통법 개정안 통과가 핵심이라고 지적한다.

저성장과 마진 하락에 직면한 증권사들 입장에서는 신규 비즈니스 모델과 정부의 금융시장 지원대책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아직까지 박근혜호에 대한 기대감은 높다.
박근혜 당선인은 대선 직전 한국거래소를 방문해 "5년 이내에 코스피 3000시대를 반드시 열겠다"며 "내년 세계경제가 어려울 것이라는 말이 많이 나오지만 어쨌든 살려내 돈이 돌아야 한다. 돈이 돌고 주식시장도 활황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또한 박 당선인은 자본시장이 전반적인 성장을 할 수 있도록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조속히 통과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kiduk@fnnews.com 김기덕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