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철도파업] ‘신용등급 C’ 부실경영 코레일의 ‘민낯’

예병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3.12.26 17:26

수정 2014.10.30 19:19

'코레일의 신용등급 B2, 경영평가 C등급이다.' '부채비율도 이미 400%를 웃돌아 자산을 지금 처분해도 남는 거 없이 빚잔치만 해야 하는 상황이다.' 코레일의 건강 상태를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는 대목이다. 공기업이기에 망정이지 민간기업이었다면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추진해야만 회생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26일 코레일 노조의 파업이 18일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코레일의 부실경영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공기업은 국가 또는 지방공공단체의 자본에 의해서 생산.유통 또는 서비스를 공급할 목적으로 운영되는 기업이다.

공공기관으로 대다수의 국민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적정 가격에 서비스를 공급해야 되는 동시에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으로 재무적으로 안정돼야 한다는 것.

이 같은 관점에서 보면 코레일은 기업으로서 낙제점을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우선 코레일은 지난해 경영 평가에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스공사.관광공사.조폐공사 등 9개 공기업과 함께 C등급을 받았다. 총 6개의 등급이 있는 것을 고려하면 평균 이하라는 평가다.

평가의 핵심은 막대한 부채에 있다. 특히 코레일의 현실을 민간 기업과 비교하면 부실의 민낯이 여지없이 드러난다.

올 상반기 기준 코레일의 부채 총액은 17조6028억원에 이른다. 지난해 말 14조3200억원에서 6개월 만에 3조원이 넘게 상승한 것이다. 부채비율은 433.9%에 이른다. 올 상반기 매출 2조4336억원, 당기순손실 5조1761억원에 이른다.

400%가 넘는 부채비율을 민간 기업에 적용할 경우 사실상 사망선고에 가깝다. 한때 한국 최고의 기업이었던 대우그룹이 무너질 당시인 1999년 부채비율은 400% 수준이었다. 올해 알짜 계열사 및 사업부문 매각을 통해 위기탈출을 하겠다고 발표한 동부그룹의 부채비율은 코레일에 비해 한참 낮은 259.4%(지난해 기준)다. 코레일이 민간 기업일 경우 이미 공중분해됐을 가능성도 있는 것.

이와 관련, 코레일 노조는 용산역세권개발 사업 손실과 인천공항철도 인수 등 정부 정책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부채 확대가 불가피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코레일이 공사로 출범한 지난 2005년 부채 5조8000억원, 부채비율 51%로 상당히 건전했지만 매년 부채가 늘어나 지난 2010년 부채 10조원과 부채비율 100%를 넘었고 지난해에는 부채비율이 200%를 넘었다. 정부 정책을 지원했다고는 하지만 매년 부채와 부채비율이 늘어난 점은 코레일의 경영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방증인 것. 국제적인 신용평가사인 무디스도 지난해 코레일의 독자신용등급을 Ba3에서 B2로 두 단계 낮췄다. 이 같은 경영성과를 반영하면 신용등급 추가하락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위기에 있는 코레일을 바꾸기 위해서는 인력 구조조정이 이뤄져야 한다. 민간기업에서 위기가 생기면 희망퇴직 등의 방법으로 구조조정을 단행하는 것이 당연한 수순이다.

코레일은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중이 높은 편이다. 현재 코레일의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중은 46.3%다. 반면 독일 철도는 27.6%, 철도노조의 파워가 세계에서 가장 세다는 프랑스가 39.1%, 스웨덴의 경우 27.5%다.

이는 매분기 10조원의 영업이익을 내는 삼성전자의 평균연봉(6970만원)보다도 조금 낮은 수준이다. 이는 코레일의 평균 연봉이 높은 것은 장기근속자(코레일의 평균 근속연수는 19년)가 많기 때문이다.

실제 코레일의 대졸 신입사원 초임 연봉은 2500만원으로 삼성전자의 대졸 신입사원 초임(3500만원)에 비해 1000만원 이상 낮으나 전체 직원의 평균 연봉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매년 부채가 늘어나는 상황에도 코레일은 인력 구조조정을 생각하지 않는 것은 물론 막대한 연봉을 보장해 줬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더 큰 문제는 코레일 부실경영을 구조조정할 주체인 정부가 코레일의 현실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상위 부처인 국토교통부는 코레일에 각 부문과 노선마다 수익에 관한 보고를 요구했지만 제대로 된 답변을 듣지 못하고 있다.

'철도는 시스템 사업이라 분리가 어렵다' '사업장이 전국에 있어 분석이 불가능하다' 등의 핑계를 대고 제대로 된 보고서를 제출하지 않고 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