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왜 국내은행 도쿄지점에서만 비리가 터질까

박승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04.15 17:33

수정 2014.10.28 07:56

왜 국내은행 도쿄지점에서만 비리가 터질까

국내은행의 일본 도쿄지점에서 연이어 부당 대출 의혹이 터지면서 파문이 확대되고 있다. 국민은행에서 터진 도쿄지점 문제는 우리은행, 기업은행까지 같은 방식으로 부당 대출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시중은행 일본 도쿄지점에선 왜 같은 사고가 일어났을까. 금융권에선 일본 도쿄지점의 부당 대출 혐의에 대해 터질 것이 터졌다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특히 국내 일부 은행의 도쿄지점 부당대출의 경우 개인 비리보다 집단비리에 가깝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민은행, 우리은행, 기업은행 등 3곳에서 같은 방식(리베이트 수수)으로 부실 대출 의혹이 불거졌기 때문이다.

우리은행과 기업은행 도쿄지점의 경우 700억원대 부실 대출 가운데 일부가 국내로 유입된 정황까지 드러났다.
시중은행 도쿄지점 직원 가운데 일부가 자신의 연봉보다 지나치게 많은 금액을 국내로 송금한 사실이 적발된 것이다. A은행 관계자는 15일 "주요 은행들이 돈 많은 동포를 고객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혈안이 돼 있다"면서 "대출 한도를 늘리는 대신 리베이트를 받는 것이 보이지 않는 룰(규칙)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 현지 동포 등을 대상으로 시중은행 도쿄지점이 영업경쟁을 벌이면서 부당 대출 유혹에 빠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돈 많은 교포나 재력가가 한정돼 있어 무리한 대출 경쟁이 벌어졌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국내 은행의 일본 지점들은 파친코 사업 등을 하는 재일동포와 현지은행에서 취급하지 않는 거래를 주로 하고 있다"면서 "대출 한도를 늘려 고객을 유인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현재 우리.국민.신한.기업.하나.외환은행이 도쿄에서 지점을 운영 중이다. 이번 사건에 연루되지 않은 신한은행과 외환은행의 경우 사외이사나 지점장이 각각 재일교포여서 부당 대출 자체가 어려웠다는 분석이 나온다.

B은행 고위 관계자는 "일본 도쿄지점 부당 대출 사건은 개인 비리보다는 집단비리에 가깝다"면서 "국내 시중은행 지점장들끼리 잦은 만남을 가졌고, 대출 브로커들이 이들을 노린 것"이라고 귀띔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A은행 도쿄지점장이 다른 은행 지점장에게 부당 대출 방식을 전수한 것으로 안다"면서 "그렇게 형성한 일부 불법자금이 국내에 들어와 어디에 쓰였는지를 밝혀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현재 금감원은 국민은행에 이어 우리은행과 기업은행 도쿄지점의 부당 대출 혐의에 대해 현장 검사를 벌이고 있다. 검사 기간은 예상보다 길어질 전망이다.
혐의자 범위가 갈수록 넓어지고 있어서다. 금융당국은 이미 사고가 터진 은행뿐만 아니라 다른 시중은행에 대해서도 전수조사에 나설 방침이다.


한편 이날 산업은행은 "도쿄지점에 대한 자체 감사를 실시한 결과 대출 취급 때 일부 검토사항이 산은의 내부기준에 비춰 미흡한 부분이 있어 자체 지적하고 금융당국에 보고했다"면서 "부당대출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sdpark@fnnews.com 박승덕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