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한국형 산지개발·광역단위 주택모형 창출” 박양호 국토연구원장

이경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8.09.30 17:09

수정 2014.11.05 12:32



“연구결과가 정부의 정책으로 만들어질 때 보람을 느낍니다. 국토계획 등과 관련한 문제점이나 개선방안을 한 발 앞서 도출해 정부에 제시하고 조직을 융합해 신속하게 변화를 주도하겠습니다. 유연하면서도 실용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조직으로 국토연구원을 탈바꿈시킬 계획입니다.”

1일로 개원 30주년을 맞은 국토연구원의 박양호 원장(57)은 연구원의 위상에 대해 ‘30세 성장론’을 제시했다.

국토연구원이 지난 30년간 정부의 각종 연구용역을 추진하면서 없어서는 안될 국책연구기관으로 성장했지만 30세를 맞아 시대를 앞서가는 연구서비스 전문기관으로 더욱 발돋움해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박 원장은 “정부에서 이미 예상하고 있거나 추진 중인 정책에 대한 연구보다는 사회의 변화를 미리 예측하고 연구결과를 제시해 정책에 반영토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를 위해 “세계적 컨설팅 회사인 ‘맥킨지’처럼 학문적 연구와 실용성을 결합한 연구에 매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박 원장은 “연구용역을 수행할 때에도 정부와 학계,이해관계자 등을 참여시키는 방향으로 고객의 의사를 최대한 반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30주년을 맞은 국토연구원은 그 동안 국토분야 유일의 국책연구기관으로 굵직한 정부 정책의 토대를 제공했다. 우리나라 국토 관리에 대한 청사진인 국토계획과 1·2기 신도시 개발 계획, 중앙정부 지방이전 작업 등을 위한 토대 등을 국토연구원이 마련했다.

국토연의 연구 보고서가 곧 정부의 법 개정안과 동일시되기도 했다. 1980년 공채 2기로 연구원에 입사한 뒤 최고 수장에 오른 박 원장에게 연구원은 역사이며 전통이다. 하지만 박 원장은 보다 우수한 연구 성과물을 내기 위해 역사와 전통에 매달리지 않고 유기적인 조직으로 변화를 거듭하겠다는 각오다.

박 원장은 “그동안 조직에서 중규모 실 아래 팀을 두었으나 실제로 팀간 유기적 협조가 잘되지 않았다”며 “국토계획단이나 광역도시계획단(가칭)과 같이 여러분야 전문가들이 함께 연구에 참여한 뒤 결과물을 내고 해체하는 프로젝트 단위 팀제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도 개발논리에서 벗어나 국토의 균형발전을 위한 방향으로 개선한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박 원장은 “주택공급에 급급해하다보니 도시개발과 인프라(사회간접자본)를 묶어 광역 단위로 개발하는 주택모형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것이 사실”이라며 “한국형 그린벨트 및 산지개발 모델을 만들고 신도시간 연계 및 광역단위 개발 방향에 맞는 신도시 모델을 창출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토종합계획을 재수정하고 광역경제권 발전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미래도시 발전방안과 남해안선벨트 개발, 수도권 계획적 관리방안 등 시대가 요구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이들 연구결과가 나오면 보다 개선된 미래 국토 청사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구의 기본 틀이 되는 통계 모형도 개선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박 원장은 “과거 통계가 정교하지 못하고 정책변수가 많아 부동산가격 전망이 다소 부정확한 면이 있었다”며 “과학적인 통계를 토대로 땅값 및 집값을 전망을 하기 위해 부동산연구단을 설치, 새로운 주택모형을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

박 원장은 이런 내용을 담은 새로운 기업이미지(CI)를 채택해 1일 서울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리는 ‘개원 30주년 국제세미나’에서 발표한다.


박 원장은 서울대를 졸업한 뒤 1980년 국토연구원에 공채 2기로 입사, 국토계획연구실장과 기획조정실장,부원장을 거쳐 지난 6월 원장에 취임했다.

/victoria@fnnews.com 이경호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