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단체

은행 ‘건설사 위기’에 초긴장

홍창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8.11.03 21:58

수정 2008.11.03 21:58

중견 건설사 부도 등 건설사발 실물위기가 금융부실로 확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 은행권은 건설업종 리스크(위험)관리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지만 정부와 정치권의 ‘비 올 때 우산을 뺏는다’는 비난여론에 리스크 관리에 대한 운신의 폭은 좁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의 각종 대책에도 건설경기 침체로 건설사 부도가 확대 조짐을 보이면서 은행권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6월 말 현재 은행들의 건설업체 대출잔액이 47조5000억원이나 되고 중소 건설업체의 은행 대출 연체율은 올 6월 말 2.26%를 기록하는 등 지난해 말보다 0.80%나 상승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들은 건설업체 미분양 및 차입금 현황에 대한 주기적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것은 물론 하반기부터 건설업을 경기민감 업종으로 지정해 주기적으로 신용도를 평가하고 있으며 건설업종 대출에 대해서는 별도의 한도를 두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정치권이 연일 은행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은행을 압박하고 있어 시중은행들은 제대로 된 위험관리를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올 들어 9월까지 부도난 종합건설업체와 전문건설업체는 지난해 동기보다 47.6%나 급증하는 등 건설업종의 부도율이 높아지고 있어 적극적인 위험관리가 필요하지만 정부가 시중은행에 건설업과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요구를 하고 있어서다.

정부는 일시적 유동성 위기에 몰린 건설업체에 대해서는 만기 연장이나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등을 추진할 것을 은행들에 독려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시중은행 고위 관계자는 “중소기업 특히 건설 쪽은 정부가 실물경기에 악영향을 준다며 신경쓰고 있어 은행 단독으로 쉽게 처리할 수 없는 난감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잇따라 건설사 지원대책과 건설업종 부양을 위한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주택·건설시장이 언제 침체의 늪에서 벗어날지 장담할 수 없어 은행의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한국은행도 지난 2일 건설·부동산업 대출의 평균만기는 20개월 내외로 기타 중기 대출(13개월 내외)보다 장기이고 지난해 취급된 대출액의 상당액이 만기가 도래하지 않아 연체율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구용욱 대우증권 수석연구위원은 “미분양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건설업계는 손실이 날 수밖에 없고 은행의 손실도 불가피하다”면서 “정부의 대책이 시장에서 먹혀들어가면 괜찮겠지만 그렇지 못하면 은행권에 또 다른 문제로 부상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ck7024@fnnews.com 홍창기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