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단체

자금난 건설현장 줄줄이 ‘스톱’

김관웅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9.03.17 22:28

수정 2009.03.17 22:28



전국의 건설현장이 자금난으로 줄줄이 멈춰서고 있다.

장기적인 주택경기 침체로 건설사들이 극심한 유동성 위기에 내몰리면서 아파트 건설현장은 민간부문은 물론 공공부문까지, 지방은 물론 수도권까지 곳곳에서 공사 중단·지연 대란이 빚어지고 있다. 미분양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은 데다 금융권의 대출이 꽉 막혀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입주예정자들이 내는 중도금은 공사에 투입되지 못한 채 부채상환을 위해 금융권이 거둬들이고 있다.

주공아파트 건설현장은 시공사 부도와 이에 따른 시공권 교체 등으로 건설이 줄줄이 지연되고 있으며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발주하는 국도 등 사회간접자본 시설사업도 예산 부족으로 중단되거나 지연되는 사례가 줄을 잇고 있다.

17일 건설·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대전 중구에서 중대형 아파트 위주로 건설 중인 한 사업장은 미분양이 줄지 않아 공사 일정에 큰 차질을 빚고 있다.
이 아파트 시공사 관계자는 “분양한 지 1년이 넘도록 계약률이 오르지 않아 공사대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은행권에서도 대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계약률이 오르지 않는 이상 입주 시기를 맞추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일부 사업장은 계약률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데도 금융권에서 입주예정자들이 내는 중도금을 대출상환금으로 회수하면서 정작 공사현장에 돈이 투입되지 못해 겉도는 현장도 늘고 있다.

S건설이 경기 안양시에서 총 200가구를 짓고 있는 아파트 현장은 계약률이 70%를 넘어섰지만 공사가 계속 지연되고 있다. 입주예정자들이 중도금을 꼬박꼬박 내고 있지만 대출을 해준 금융권에서 모두 회수해가고 있어서다. 이로 인해 이 사업장은 공사 자재를 제때 구입하지 못해 공사 일정이 계속 늦어지고 있다.

일부 현장에서는 하도급 업체들이 현금이 아니면 자재납품이나 작업을 꺼리면서 공사가 제대로 진척되지 못하는 사례도 있다.

민간아파트 현장에서 건설 자재업체나 하도급업체들은 종전에는 만기 60일 전후의 어음을 받았으나 건설업체의 유동성이 악화되자 현금을 요구하고 있다.

이외에도 이른바 버블세븐으로 지목돼 고분양가 논란에 휩싸였던 사업장에서는 입주예정자들이 중도금 납부를 거부하면서 공사가 지연되는 사례도 있다.

주공아파트 등 공공부문 사업장도 시공사 부도 등으로 공사가 지연되는 경우가 줄을 잇고 있다.

이렇듯 지방이나 수도권을 가리지 않고 아파트 건설이 중단되거나 지연되는 사업장이 늘면서 예정된 공사 일정보다 25% 이상 지연된 보증사고 사업장도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대한주택보증에 따르면 보증사고 사업장은 지난해 1월 35곳에서 같은 해 12월 말에는 60곳으로 늘었다. 당초 공사 일정보다 20% 이상∼25% 미만 정도 지연돼 사고 사업장으로 분류되기 직전인 관리사업장도 같은 기간 25곳에서 34곳으로 증가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정부와 금융권에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입주 지연을 둘러싸고 시공사와 입주예정자간 소송대란 등 각종 사회적 갈등이 분출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kwkim@fnnews.com 김관웅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