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단체

[파이낸셜뉴스/한미재무학회 국제금융컨퍼런스] 세션4/다각화와 내부자본 시장 그리고 기업 가치

예병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08.20 17:30

수정 2014.10.23 22:31

[파이낸셜뉴스/한미재무학회 국제금융컨퍼런스] 세션4/다각화와 내부자본 시장 그리고 기업 가치

【 하와이(미국)=예병정 기자】 기업의 자금 유동성 측면에서 다국적기업이 내수 사업을 위주로 하는 기업에 비해 유리한 측면이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한 내부 자본시장의 비효율성 때문에 기업들이 마지막 회계연도인 4.4분기에 공격적인 투자를 진행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업을 다각화하는 이유가 주주들이 공동보험을 통해 이익을 얻기 위해서라는 분석도 나왔다.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 하와이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열린 '파이낸셜뉴스/한미재무학회 주최 국제금융컨퍼런스(FN/KAFA International Finance Conference)'의 네번째 세션 '다각화와 내부자본시장 그리고 기업 가치'에서는 이 같은 연구결과에 대한 주제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다국적기업의 풍부한 유동성

장예진 퍼듀대학 교수는 지난 2000년부터 2010년까지의 미국 다국적기업과 내수기업을 바탕으로 연구한 결과, 기업이 은행으로부터 대출을 할 때 다국적기업은 순수한 내수기업에 비해 외국으로부터 더 많은 자금을 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이는 다국적기업이 내수 중심의 기업에 비해 자금유동성이 풍부하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장 교수는 "다국적기업은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상황에도 외국에서 더 많은 자금을 조달했으며 국제 채권 시장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지난 2007~2009년 금융위기를 자금 조달 위기로 봤을 때, 미국의 다국적기업은 금융위기가 최고조일 때인 리먼 파산 후 2분기 동안 금융 위기와 큰 연관이 없는 외국에서 더 많은 자금을 조달한 바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장 교수는 기업의 자금 조달 측면에서 보면 해외에 사업체를 늘리는 것이 유리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국적기업의 외국 자금 조달은 다국적기업의 모국 시장이 붕괴되었을 때 내수 기업에 비해 더 뛰어난 자금 유동성을 가질 수 있게 한다"며 "신흥국처럼 국내 금융시장이 발전하지 못했을 경우 이를 대체하는 방안으로 해외에 진출해 국제적 자금조달 경로를 확보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말했다.

■기업 투자의 비효율성

기업들이 회계연도의 마지막인 4.4분기에 가장 많은 투자를 집행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김용헌 신시내티대학 교수는 "기업들이 4.4분기에 더 공격적으로 투자를 하는 것은 기업 내부자본시장의 비효율성 때문"이라며 "부서 관리자들은 다음해의 예산을 늘리거나 최소한 현상유지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투자 계획의 성공 가능성과는 관계없이 4.4분기에 모든 예산을 집행하게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대리인 문제와도 관계가 있다. 대리인 문제는 기업의 소유와 경영이 분리돼 있을 경우 주주의 목표는 주가 또는 기업가치의 극대화인 반면 주주의 대리인인 경영자의 목표는 대부분 성장과 매출액의 극대화 또는 경영자 자신의 직위의 안정, 지배욕 등 이기적 목표를 추구하거나 소극적으로 일하는 불성실 경영행위를 함으로써 발생되는 주주와 경영자 간의 이해관계의 상충을 말한다.

김 교수는 "내부시장에서 비효율성이 발생하는 원인은 대리인 문제 때문"이라며 "이 같은 비효율성은 관습법 국가에 비해 민법 국가에서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주주와 경영자 사이에 발생하는 대리인 문제가 민법 국가에서 더 크게 나타남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과도한 다각화 규제가 바람직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심형섭 교수의 경우 기업 다각화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

일반적으로 기업 다각화는 △규모 및 범위의 경제를 통해 기업가치 증가 △내부 자본시장을 확대시켜 경영 효율성 제고 △분산된 사업 포트폴리오의 공동보험효과로 기업 가치 향상 △기업의 이익과 손실을 비대칭적으로 다루는 조세제도 하에서 절세효과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개별 사업부문의 입장에서 볼 때 다각화는 잉여현금흐름을 증가시켜 과다투자를 유발 △사업부문 간 횡적보조에 의해 한계기업 퇴출 지연 △다각화 기업 내에서는 최고경영자와 사업부문 경영자 간 정보비대칭 심화로 기업 가치 저해 등의 부정적인 효과를 내기도 한다. 심 교수는 "이종 사업 합병을 통한 사업다각화는 동종 사업 합병하는 것에 비해 한계세율이 낮다"며 "한계세율이 낮아지면서 만들어지는 절세효과로 인해 주주들은 이익을 획득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기업구조조정의 일환으로 과도하게 집중화·전문화를 유도하는 정책보다는 낮은 수준의 기업다각화를 허용하고, 일정수준 이상의 과도한 다각화에 대해서는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coddy@fnnews.com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