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단체

“실수요자 내집마련 내년 상반기 노려볼 만”

김관웅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8.11.03 21:55

수정 2008.11.03 21:55



정부가 가계대출 부담완화 등을 담은 10·21 부동산 대책에 이어 재건축규제 완화와 투기지역 및 투기과열지구 등을 골자로 한 11·3 종합대책을 내놓음에 따라 주택시장이 언제쯤 바닥을 칠지에 수요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연이어 나오고 있는 규제완화 정책으로 서울 강남권 일부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나타나고 있지만 대다수 전문가들은 주택시장이 바닥을 치고 회복기로 돌아서는 시기는 빨라야 올해 말이나 내년 상반기로 꼽고 있다.

■“집값 하락세 당분간 더 지속”

3일 파이낸셜뉴스가 부동산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부동산시장의 바닥여부와 내집 마련 시기 등을 긴급 설문조사한 결과 정부의 잇단 부동산 부양책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당분간은 부동산시장이 더 가라앉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원갑 스피드뱅크 부사장은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단지에서 일부 급매물이 거래되고 호가가 소폭 상승하고 있지만 이는 낙폭 과다에 따른 일부 매수세력의 유입일 뿐”이라며 “이번에 나온 대책도 시장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기에는 부족하고 향후 금융위기에 따른 대규모 실업난도 예상되기 때문에 언제 매수세가 살아날지 가늠하기조차 힘들다”고 말했다.

박상언 유엔알컨설팅 사장은 “부동산거래 활성화를 위한 대책이 계속 나오고 있지만 시장에 돈이 없어 매수세가 형성되지 않고 있다”면서 “부동산시장이 살아나려면 글로벌 금융위기가 진정되고 증시가 살아나야 부동산의 기대심리도 높아질 수 있는 만큼 대책이 쏟아지고 있다고 해서 곧 바닥을 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부동산시장이 대책에도 불구하고 향후 가격이 더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함영진 부동산써브 실장은 “지금 서울 강남권을 비롯해 이른바 ‘버블세븐’ 지역 집값이 최고가 대비 30% 안팎으로 하락했지만 거시경제가 여전히 불안한 데다 계절적인 비수기까지 겹쳐 가격이 더 빠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하락폭은 둔화 또는 보합세 유지” 견해도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규제가 완화되고 있는 만큼 지금 부동산시장은 서서히 바닥을 다지는 중이며 향후 집값도 더 이상 하락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임달호 현도컨설팅 사장은 “정부가 재건축 부문에서 용적률 상향조정, 소형·임대의무비율 결정권 지자체 이관 등 나름대로 파괴력이 있는 대책을 내놓은 만큼 강남권 재건축단지 하락세는 멈출 것”이라며 “서울 강북을 제외한 일반 아파트들도 추가 하락보다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진정될 때까지 보합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임 사장은 “자금 여력이 있는 수요자라면 그동안 많이 내린 지역의 초급매물을 선별해 매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며 “다만 집값이 단기간에 급등할 가능성은 없기 때문에 금융여력이 적은 사람은 서두를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내집 마련 시기는 내년 상반기”

내집 마련 시기에 대해서는 전문가 대다수가 내년 상반기로 꼽고 있다. 박상언 사장은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개인사업자와 증시 참여자들의 자금이 바닥났기 때문에 내년 상반기까지 더 빠질 가능성이 있다”며 “글로벌 금융위기가 진정되고 규제완화 대책이 본격적으로 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되는 내년 상반기가 내집 마련 적기로 본다”고 말했다.


함영진 실장은 “이번 대책만으로는 시장이 움직일 가능성이 적어 세금관련 내용을 포함한 추가대책이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며 “추가대책이 나온 뒤인 내년 상반기가 실수요자들이 접근해야 할 시기로 본다”고 말했다.

이에 비해 김영진 내집마련정보사 사장은 “서울 강남권 재건축을 비롯해 일반 아파트시장도 바닥에 접근하고 대책이 계속 나오고 있는 만큼 실수요자들이 보다 유리한 상황에서 내집 마련을 하려면 올해 말부터 적극적으로 매수 나설 필요가 있다”며 “내년 초가 지나면 본격적인 매도자 우위시장이 열릴 수도 있다”고 말했다.


임달호 사장은 “수도권이 아닌 서울 강남권 아파트는 지금이 가장 저점에 매입할 수 있는 시기”라며 “특히 재건축시장은 워낙 많이 빠진 만큼 지금이 적기로 본다”고 말했다.

/kwkim@fnnews.com 김관웅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