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18대 대선] 되돌아본 대선정국..숨가빴던 1년 주요 포인트는

김영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2.12.18 17:31

수정 2012.12.18 17:31

[18대 대선] 되돌아본 대선정국..숨가빴던 1년 주요 포인트는

11월 27일부터 시작된 22일간의 공식선거운동이 대단원의 막을 내리고 결과만을 남겨두게 됐다. 공식선거운동 기간은 22일에 불과했지만 실질적인 대선레이스는 올 초부터 시작돼 1년여 가까이 이어졌다.

이번 대선은 '박근혜 대세론'에서 시작해 '안철수 등장' '문재인-안철수 단일화' '이정희 사퇴' 등 선거 막판까지 돌출 변수들이 수없이 쏟아져나왔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와 안철수 전 무소속 후보 간 다사다난했던 단일화 과정과 이에 대응하는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의 주도권 잡기로 숨가쁘게 달려온 대선 정국을 짚어보면 역대 그 어떤 대선보다 치열한 싸움이 펼쳐졌다.

■朴 대세론 무너뜨린 安

박 후보는 지난 8월 20일 전당대회에서 86.3%라는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하며 일찌감치 새누리당 대선후보로 나섰다.

박 후보의 대세가 점쳐졌지만 이를 위협하는 것이 있었다.
안 전 후보의 대선 출마설이다. 안 전 후보가 7월 '안철수의 생각'을 출간하면서 세상의 눈과 귀는 자연스레 안 전 후보의 출마 여부에 쏠렸다. 하지만 안 전 후보는 출마에 관한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문 후보는 지난 9월 16일 경선에서 누적득표율 56.5%로 결선투표 없이 민주당 대선후보로 확정됐다. 여야 전면전이 되는 듯 했지만 3일 후인 19일 안 전 후보의 출마 선언으로 대선은 3파전으로 재편됐다.

안 전 후보의 출마는 문 후보를 변방으로 밀어내는 동시에 박 후보의 대세론까지 무너뜨렸다. 양자대결에서는 안 전 후보가 박 후보를 앞서는 등 이제 '안철수 현상'이 아닌 '안철수 대세'로 굳혀지는 듯했다.

■安 사퇴 '아름다운 단일화' 실패

대선 정국은 문 후보와 안 전 후보 간 단일화 논의가 시작되면서 요동쳤다. 지난 11월 6일 두 후보가 단독회동하며 단일화 작업이 탄력을 받는 듯했지만 양측은 '룰' 결정에 있어 '단일 후보로서의 적합성'과 '박 후보를 이길 경쟁력'을 갖고 한 치의 양보도 없었다. 급기야 안 전 후보는 논의가 시작된 지 8일 만인 11월 14일 '단일화 논의 잠정중단'을 선언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문 후보 측은 안 전 후보 측 달래기에 나섰고 논의는 19일 겨우 재개됐으나 이마저도 순탄치 않았다. 두 후보의 다음 날 2차 단독회동에도 진전이 없자 안 전 후보 측은 후보 등록 나흘 전인 22일 '최후통첩'이란 이름으로 '가상양자대결 50%+지지도 50%'를 제안했다. 문 후보 측이 안 전 후보 측의 '최후통첩'을 수용하지 않자 안 전 후보는 23일 "단일 후보는 문재인 후보"라며 결국 사퇴의 길을 택했다.

안 전 후보의 사퇴로 막을 내린 단일화 논의는 당초 양측이 내걸었던 '아름다운 단일화'를 퇴색시켰고, 단일화 논의로 주목받지 못하던 박 후보는 그동안 '야합'이라 비판하던 화살을 '민주당의 구태'로 돌려 본격적인 문 후보 공격에 나섰다.

■1대 1 보혁 대결… 네거티브 기승

이정희 통합진보당 후보가 지난 16일 돌연 후보직을 사퇴하면서 1987년 대통령 직선제 개헌 이후 첫 1대 1 보혁 구도의 대선이 성립, 숨 막히는 승부가 펼쳐졌다.

정치권은 지지율 1% 안팎을 기록한 이 후보의 사퇴가 초박빙 접전 양상인 막판 판세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분주하게 계산기를 두드렸다.

문 후보의 지지율은 '아름답지 못한' 단일화에도 불구하고 상승세를 타기 시작하며 박 후보를 바짝 쫓았다. 여기에 안 전 후보의 지원사격이 더해지면서 문 후보 지지율은 탄력을 받으며 오차범위 내 접전 양상을 만들었다.


초박빙 판세로 양측의 네거티브전은 더욱 가열됐다. 특히 선거 막판 문 후보 측이 제기한 '국정원의 대선 개입' 의혹은 박 후보를 직접 기자회견에 나서게 했고 문 후보 측은 이를 '박 후보 측의 판단 미스'라며 공격을 가세했다.
'네거티브 전면전'을 선포했던 박 후보와 '네거티브 대신 정책대결'을 선언한 문 후보의 말이 무색할 정도로 이번 대선은 결국 후보 및 정책 검증이 실종된 '양쪽 흠집내기'로 마무리됐다.

ch21@fnnews.com 이창환 김영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