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KISTEP, 바이오 분야 차세대 먹거리와 BT 산업화 시급

박지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3.03.07 14:28

수정 2013.03.07 14:28

국내 바이오 분야 전문가들이 정보통신시대에 이어 미래 바이오경제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이제 가시적인 산업화 성과를 창출해야하는 시점이라는 의견을 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7일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바이오 R&D 정책이슈'를 발표하고 바이오 분야 전문가 77명을 대상으로 우선순위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들이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에 명시된 14개 세부 추진과제 중 '생명공학 실용화·산업화를 위한 R&D 지원 확대'를 가장 중요한 과제로 꼽았다고 밝혔다.

이는 바이오기술에 대한 관심이 연구중심에서 경제·사회와 연계한 먹거리 창출 측면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KISTEP은 분석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바이오 분야에 대한 초점이 기초연구 성과에서 산업화로 옮겨가고 있는 추세는 주요 선진국 R&D 정책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최근 '국가 바이오경제 청사진'을 발표하고 연구개발 지원 강화와 연구성과의 산업화 촉진 등 5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영국은 생명과학산업 연구성과의 조기 산업화 촉진을 정부R&D 예산 편성의 주요 이슈중 하나로 설정했다.


우리나라도 박근혜 정부가 출범하면서 제시한 국정과제 140개 중 10%에 해당하는 14개 과제가 바이오 분야 R&D와 관련이 있고, 특히 보건산업의 미래성장산업 육성 및 고령친화산업 육성 등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성장동력 강화 부문에서 바이오분야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KISTEP의 유승준 부연구위원은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바이오 R&D 정책으로 산업화 및 일자리창출을 위한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며 "새 정부가 5년 내에 산업화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영역과 차기 정부를 위해 그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영역으로 이원화해 투자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단기 영역으로는 바이오 분야의 중·저위 기술(Mid·Low Tech)과 적정기술을 활용해 안전, 복지 등 국민행복기술 실현을 위한 산업화 영역에 투자할 것을 제안했다.
또 중소·벤처기업과 사회적 기업의 활성화를 통해 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 실현을 기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밖에 현재 9개 부와 청에서 투자를 진행해 유사 중복이 발생하기 쉬운 바이오 분야의 특성상 이를 통합 관리하는 전주기 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KISTEP은 미래창조과학부가 R&D 종합조정 차원에서 투입과 성과 측면의 전주기적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체계적으로 구축할 것을 제안했다.

jhpark@fnnews.com 박지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