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동네앱 “근근이 먹고 삽니다”

박지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07.23 17:41

수정 2014.10.24 23:20

동네앱 “근근이 먹고 삽니다”

#1. "다음부터는 배달 응용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앱) 말고 이 전단지에 적힌 번호로 직접 연락주시면 서비스 많이 드리겠습니다." A씨는 동네 주변 음식점들이 많이 등록돼 있어 입맛에 따라 음식을 쉽게 배달시킬 수 있는 배달 앱을 애용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부쩍 A씨는 음식점 관계자들로부터 배달 앱이 아닌 직접 배달 주문을 시켜달라는 요구를 많이 받고 있다.

#2. "소셜커머스에서 쿠폰 끊지 않고 직접 오시면 동일한 가격으로 더 좋은 서비스를 해드리겠습니다." 소셜커머스에 올라온 로컬서비스를 활용해 동네 미용실 이용권을 결제하기 전, 미용실에 전화를 걸어 서비스를 문의하려던 B씨는 이 같은 말을 들었다. B씨는 미용실이 아니어도 주변 친구들로부터 음식점이나 레저 이용권을 끊을 때 굳이 소셜커머스를 통하지 않아도 동일한 가격에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례를 많이 봐왔다.

소셜커머스, 배달 앱 등에서 주로 활용되는 지역기반 서비스의 수익구조에 빨간불이 켜졌다.

지역기반 서비스는 개인용컴퓨터(PC)나 모바일 이용자 주변의 지역 서비스를 한데 모아 보여주는 일종의 온라인 거래 장터를 만들어 고객과 상인 간 연결을 돕는 것이다. 주요 수익 구조는 지역 상인들로부터 받는 수수료다. 이 서비스는 비싼 TV나 옥외 광고가 부담스러운 지역 상인들이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홍보효과를 볼 수 있고, 소셜커머스나 배달 앱 서비스 사업자는 플랫폼 제공 대가로 수수료를 받을 수 있어 초창기 '상생 모델'로 각광받아왔다.

하지만 최근 수수료에 부담을 느낀 지역 상인들을 중심으로 해당 서비스를 이탈하려는 움직임이 늘고 있다.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쿠팡, 티몬, 위메프 등 국내 주요 소셜커머스는 지역기반 서비스에 대해 15% 안팎의 수수료를 받고 있으며 배달의 민족, 배달통, 요기요 등 주요 배달 앱의 경우 적게는 8.8%에서 많게는 20%까지 수수료를 받고 있다. 수수료는 거리, 배달 종목 등에 따라 달라진다.

수수료를 내야 하긴 하지만 자영업자들 입장에서는 소셜커머스나 배달 앱에 상점을 등록시키면 자연스럽게 홍보효과를 누릴 수 있다. 실제 배달 앱이 생기고 국내 배달 시장 이용자는 점점 늘고 있다. 랭키닷컴에 따르면 지난달 배달의 민족, 배달통, 요기요 등 3개 배달 앱의 총 월간 이용자수는 1019만명으로 지난해 5월 3개 앱의 총 월간 이용자수 584만명에서 약 1년 새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월간 이용자수는 한 달간 해당 앱을 실행한 사람수다.

하지만 자영업자들에게 지속적인 수수료는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다. 곳곳에서 지역기반 서비스에서 제시한 수수료를 문제 삼기 시작했다. 경기도 일산에서 중국음식점을 운영하는 C씨는 지난해 한 배달 앱에 회원으로 등록했다. C씨는 "기본 회비로 월 3만원 정도를 내고 주문 한 건당 14% 정도의 수수료를 낸다"며 "임대료, 식재료 등 비용을 감안한 매출 마진이 40%도 안되는데 수수료와 회비 등을 빼면 사실상 수중에 들어오는 돈이 눈에 띄게 줄어든다"고 말했다.

이 같은 상황이 늘면서 일부 자영업자들은 소셜커머스나 배달 앱에 업체를 등록해두고, 이용자들에게는 직접 와서 결제를 하거나 배달을 해달라고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실 지역기반 서비스는 소상공인이 최대 수입원인 만큼 수익구조가 불안정해 네이버, 다음과 같은 거대 포털사도 쉽게 사업을 확장하지 못하는 분야다. 다음의 경우 로컬마케팅 자회사인 다음엘엠씨가 올해 초 사업부진으로 청산작업을 진행하기도 했다.

이 회사는 다음이 지난 2011년 지역기반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약 60억원에 인수했지만 계속된 수익악화로 지난해 말 청산을 결정했다. 현재 다음이 진행하는 지역기반 서비스는 다음 지도를 활용해 지역 음식점 정보나 내부 사진 등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도다.

업계 관계자는 "소상공인이 주수입원인 사업은 장기적으로 안정적일 수가 없다"며 "하지만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지역기반 서비스는 보다 활성화될 것이기에 수익구조를 소상공인들의 수수료 외 광고를 채택하는 등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pja@fnnews.com 박지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