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요동치는 중국 단기금리, 亞금융시장 ‘위안의 습격’

김홍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3.12.24 16:44

수정 2014.10.30 19:49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단기금리 폭등을 저지하기 위해 뒤늦게 3290억위안(약 57조4000억원) 이상을 쏟아부으면서 단기금리가 일시적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뒷북 정책'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최근 단기금리가 8.94%까지 상승하는 등 지난 6월에 발생한 신용경색 당시와 비슷한 수준까지 상승하면서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신용경색이 재연될 경우 한국, 일본,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의 증시 폭락 등 금융시장에 미치는 충격파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중국이 내년 성장률을 올해(7.5%)보다 낮은 7%로 결정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신용경색이 심화되면 7%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중국 경제의 경착륙은 대중 의존도가 높은 한국 등의 성장률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24일 인민은행과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인민은행이 지난주 사흘 연속 단기유동성조작(SLO)을 통해 3000억위안 이상을 시장에 공급했지만 이번 주 들어서도 금리는 계속 상승했다.

대표적 단기금리 지표인 7일짜리 레포(환매조건부채권.RP) 금리가 지난 23일 장중 9.80%까지 급등한 뒤 8.94%로 마감됐다. 이는 지난주 금요일(20일)의 8.21%에 비해 0.73%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이에 따라 인민은행이 이날 추가로 290억위안(약 48억달러)의 유동성을 시중에 공급하면서 RP금리는 전날 대비 3.39%포인트 하락한 5.55%로 개장한 뒤 5.4%대로 떨어졌다. 하지만 인민은행이 뒤늦게 시장 개입에 나서는 등 금융통화정책 시행 과정에서 갈팡질팡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언제든 지난 6월과 같은 신용경색이 재연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의 단기자금 시장이 6개월 사이 두 차례나 위기를 겪고 있는 것은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음을 의미한다며 앞으로 고통이 가중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신용경색 우려 때문에 최근 홍콩 시장에 상장한 중국 11위 은행인 광대은행은 공모가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됐으며 미국에서 거래되고 있는 중국 기업들의 주가를 추종하는 블룸버그 중.미 지수는 지난 1주일 사이 1.6% 하락했다.

중국 정부는 시장 안정을 위해 유동성 공급뿐만 아니라 언론에도 부정적인 기사를 쓰지 못하도록 지시하는 등 총력전을 펴고 있다.

하지만 좀처럼 시장 안정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인민은행은 내년에도 시진핑정부의 개혁과제인 '그림자금융'을 통한 부동산 등 거품 제거를 위한 정책 기조를 유지할 방침이어서 내년 초부터 본격화되는 미국의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과 맞물릴 경우 신용경색 재연에 대한 우려감은 커지고 있다.

hjkim@fnnews.com 김홍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