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을 꺼내며] 수입차 시장 관행 시정하자/김성환 산업부 차장

김성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3.03.10 17:28

수정 2013.03.10 17:28

[취재수첩을 꺼내며] 수입차 시장 관행 시정하자/김성환 산업부 차장

최근 공정거래위원회가 수입차 4대 업체(BMW코리아,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아우디폭스바겐 코리아, 한국토요타자동차)에 대한 폭리와 가격담합 여부를 조사하기 시작하면서 시장이 뒤숭숭하다.

주로 시장에서 나오는 얘기는 이런 것들이다. "국내차를 보호하기 위해 공정위가 칼을 빼들었다"는 음모론, "그동안 수입차 업체들이 솔직히 너무 많이 남겨먹었다"는 폭리론, "해외에서도 자동차나 부품업체에 대한 가격조사가 있으니 우리나라 역시 조사를 시작하는 게 당연하다"는 대세론 등이다. 여기에다 몇 가지 얘기를 더 붙일 수 있겠지만 지면이 제한돼 글을 아낀다.

이번 이슈에서 소비자들의 관심이 가장 큰 것은 폭리론과 음모론이다.

수입차의 폭리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최근 공정위가 조사하는 4대 업체의 가격에 불만을 품어왔던 사람이 주류를 이룰 수 있다.

음모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아마도 국내차의 가격 대비 성능에 대해 못마땅해하는 사람들일 것이다. 기사 검색을 해봐도 국내 1~2위 업체인 현대·기아차에 우호적인 기사에도 논란성 악플이 달리는 걸 보면 수입차나 국산차 모두 불만 있는 소비자가 넘쳐난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래도 폭리론에 힘이 실린다. 두 가지 이유를 들 수 있다. 첫째로는 수입차 시장이 급격히 커지면서 관심이 늘었기 때문이고, 둘째로는 자연스럽게 사후관리(AS)의 질과 가격에 불만을 나타내는 빈도 역시 늘었기 때문이다.

소비 패턴을 살펴보자. 시장이 커지면서 사회 초년생까지 수입차 운전대를 잡는 경우가 많아졌다. 장기 저리할부와 유예 할부 등의 프로그램들이 구매를 촉진시킨 셈인데 결과적으로 이는 20~30대 젊은 층의 소비 욕구를 자극했다. 아니, 자극했다기보다는 부추겼다는 표현이 더 나을지도 모르겠다. 물건을 사들이는 데 있어 다른 세대보다 결정시간이 빠른 20~30대 소비층은 지르고 생각하는 경향이 많다.

결과적으로 이들의 할부 구매는 최근 10여년간 수입차 업체들의 판매율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이는 재무적으로도 엄청난 부를 가져다주게 됐다. 제각기 꾸린 금융 자회사를 통해 할부 금리의 이익까지 취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여기까지는 문제 될 것이 없다. 하지만 20~30대가 채무 변제능력을 상실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차를 빼앗기고 빚더미에 앉는 '카푸어'를 양산하게 되는 것은 사회문제로 자리잡게 됐다.

AS 문제는 수입차 소비자들이 가장 부담스러워하는 부분이다. 서비스센터가 적어 부품가격과 수리비가 비싼 것은 당연하다손 쳐도 평균 수리기간 역시 길어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본지 조사 결과 국내 차보다 차량 가격은 싸지만 수리비는 비싸게 책정한 수입차 업체들이 대다수였다. 이 가운데 폭스바겐 등 일부 업체는 가격까지 소폭 인상했다. 물가 상승률 때문이라는 설명이지만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발효로 가격을 인하한 지 7개월 만에 다시 가격을 올린다는 것은 소비자들이 쉽게 납득하기 어려울 듯하다.

수입차는 4년 전까지만 해도 국내 시장 5%가량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에는 10%를 넘어섰다.

이는 단순히 국내 소비자들의 수입차 선호도가 늘었기 때문이 아니라 다양한 차종에 대한 소비자 욕구가 늘었기 때문이라고 보는 것이 옳다.

자동차 시장이 한층 더 성숙된 만큼 이번 공정위의 조사를 계기로 시장 가격과 서비스 역시 더욱 합리적으로 변하길 기대해본다.

ksh@fnnews.com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