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사설] 녹색기후기금 사무국 출범, 기대와 우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3.12.04 17:11

수정 2014.10.31 12:26

우리나라가 처음 유치한 대형 국제금융기구인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이 4일 인천 송도국제도시에서 둥지를 틀고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태동한 GCF를 우리 땅에 뿌리내렸다는 점에서 달라진 우리나라의 위상을 가늠케 한다. 반가운 일이다. 앞으로 조성하기로 한 기금 규모를 보면 흥분할 만도 하다. 2020년까지 매년 1000억달러를 조성키로 했으니 국제통화기금(IMF)에 뒤지지 않는 기구다. 환경분야의 세계은행이란 별칭이 따라붙는 이유도 이 기대 때문일 것이다.


GCF 유치국이 갖는 의미는 여러 모로 각별하다. 지구촌 기후 환경에 대한 국제적 목소리와 영향력을 높일 발판을 구축했다. 경제적인 효과는 더 크다. 경제 파급효과가 연간 3800억원에 이를 것이란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보고서가 이미 나와 있다. 연간 1900명의 일자리가 생긴다는 분석도 눈이 번쩍 뜨인다. 기후금융 글로벌 포럼, 기후재원 민간투자 활성화 세미나 같은 관련 국제 행사를 유치해 개최하다 보면 실현 불가능한 일도 아니다. GCF 사무국에 상주할 주재원 500명과 그에 딸린 식솔들이 뿌릴 돈도 내수로 들어온다.

그러나 저간의 상황을 보면 마냥 화색이 도는 건 아니다. 넘어야 할 산이 너무 높다. 지난달 24일 폐막된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의 성과를 보면 암담하다. 어떤 나라가 언제까지 얼마만큼 기금을 출연하겠다는 구체적인 결과물이 없다. 내년 12월 총회까지 상당한 규모의 초기 재원을 조성하겠다고 했으나 '상당한' 수식어가 갖는 의미가 신기루처럼 들린다. 이날 출범 잔칫상을 차리기 위해 수년 동안 공들여 갹출한 기금이 690만달러에 불과한데 매년 1000억달러를 언제 조성할까 싶다. 세계적인 경기불황을 구실로 대다수의 선진국들이 재원 동참에 손사래를 치고 있는 마당이다.

그렇다 해서 GCF의 역할이 미미하다는 얘기가 아니다. 필리핀의 하이옌 태풍 같은 최근의 잇따른 기상이변을 보면 GCF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세계적인 자원개발 추세와 맞물려 개도국의 공업화가 더욱 진행되면 기후 재앙이 들이닥친다는 건 불보듯 뻔하다.
기구 유치국으로서 어깨가 점점 무거워지고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GCF의 안착과 성공을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명백하다.
유치국으로서 기후변화 심각성에 대한 국민적 인식 전환은 물론이거니와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어떤 교량 역할을 해야 할지 국력을 모아야 한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