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사설] 환율급등,주가급락,대책은 없나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9.02.20 17:27

수정 2014.11.07 10:21



원·달러 환율이 1500원 선을 넘어섰고 코스피 지수는 1100선이 무너졌다. 2차 금융위기의 암운이 다시 우리 경제를 덮치는 건 아닌지 불안하다. 해외변수가 시장을 좌우하고 있어 정부로서도 딱히 대책 마련이 어렵다는 게 불안감을 증폭시킨다.

환율 급등과 코스피 급락은 서로 맞물려 있다. 외국인 투자가들은 9일 연속 ‘셀 코리아’를 이어가고 있다. 시장에서 달러 수요가 많아지자 연초 1300원이던 달러값이 1500원을 훌쩍 넘어섰다.
여기에 3월 위기설, 수출 급감에 따른 경상수지 악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움직임 등 악재가 동시다발로 겹치면서 금융시장이 일대 혼란에 빠져 있다. 수개월 전의 달러 유동성 기근마저 재연될 조짐이 보인다.

문제는 이 같은 혼란을 극복할 결정적인 수단이 우리 손에 없다는 점이다. 2차 위기의 최대 원인은 동유럽 각국의 디폴트 가능성이며 다시 그 뿌리는 미국발 금융위기에 닿아 있다. 불행히도 현재로선 어느 것도 쉽게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결국 우리 경제는 당분간 외부변수의 종속변수로 이리저리 휘둘릴 공산이 크다.

윤증현 재정부 장관은 외환시장 혼란에 대해 “그냥 가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 장관이 환율 개입을 염두에 둔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섣부른 개입이 외환보유액 낭비에 불과하다는 것은 이미 입증됐다. 그보다는 국내 금융시장의 취약성을 보강할 근본적인 처방에 눈을 돌릴 필요가 있다. 그 처방엔 홍수처럼 들어왔다가 밀물처럼 빠져나가는 외자 흐름에 대한 일정한 통제 방안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동유럽발 디폴트 위기는 섣부른 자본·금융시장 개방의 후유증이라는 측면이 강하다. 활짝 문을 열어 외자를 들여올 생각만 했지 나갈 때에 대비한 전략은 없었다. 결국 이번처럼 돈이 뭉텅이로 빠져나가면 국제통화기금(IMF)에 손을 벌리든가 채무불이행을 선언하는 수밖에 없다.
지금 동유럽 개도국들이 바로 이런 꼴이다. 4월 런던에서 열릴 2차 금융정상회의는 새로운 국제 금융질서를 모색할 좋은 기회다.
의장단의 일원인 우리 정부도 신흥국의 입장에서 금융시장 안정화에 기여할 대책을 내놓는 등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야 한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