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마이너스의 손’ PE? 투자한 기업 줄줄이 법정관리 오명

김경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7.18 10:00

수정 2017.07.18 10:00

케이스톤·MBK·스카이레이크·대신-흥국PE 등 아픈손가락…투자금 회수 요원

법정관리 기업 투자 사모펀드 현황
(억원)
법정관리 기업 시기 사모펀드 투자금
알펙 2017년5월12일 케이스톤파트너스 300
기업은행 PE사업부 250
영화엔지니어링 2016년4월 MBK파트너스 1000
세대에너텍 2016년4월 대신증권, 흥국투신 블라인드
옵티스 2016년5월 스카이레이크인베스트먼트 150

‘자본시장의 꽃’으로 불리는 사모펀드(PEF)가 투자한 기업들이 잇따라 법정관리에 들어가 PEF의 투자방식에 시장의 불신이 쌓이고 있다. 보통 수 년 이상 중장기적인 안목으로 투자자들의 돈을 받아 투자하는 사모펀드 특성상 한 치 앞을 내다보지 못한 투자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1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국내 플랜트 제조업체인 알펙은 지난 5월 12일 정상적인 경영이 어려워 법정관리(회생신청)을 신청했다.

이 업체에는 지난해 7월 사모펀드운용사인 케이스톤파트너스가 3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를 투자했다. IBK기업은행 PE사업부 역시 알펙이 재무적 위기에 빠진 2013년에 전환우선주 투자 방식으로 250억원을 투자해 지분을 확보했다. 케이스톤파트너스의 경우 알펙 투자 1년 만에 법정관리라는 최악의 국면을 맞아 투자 회수가 요원한 상태다.


이에대해 케이스톤파트너스 관계자는 “부동산담보부로 구조화 투자를 한 것”이라며 “담보를 매각하면 투자금을 회수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기업은행은 대주주인 임혁 알펙 회장의 개인예금 담보 232억원을 회수했다. 나머지 18억원은 법원에 회생채권으로 신고해 회수를 추진하고 있다.

사모펀드들의 투자한 기업이 위기에 빠진 건 이 뿐 만이 아니다.

아시아 사모펀드 운용사 1위인 MBK파트너스가 투자한 영화엔지니어링도 지난해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이 회사는 철 구조물 및 금속구조재 제작 설치 시공능력 1위업체다.

MBK파트너스는 2009년 영화엔지니어링 지분 100%를 약 1000억원에 인수했지만 2012년 이후 국내 대형건설사들의 해외플랜트 수주 손실 등 유동성 악재가 겹치면서 영화엔지니어링은 결국 법정관리 문을 두드렸다. 이후 천신만고 끝에 영화엔지니어링은 유암코의 자금지원에 힘 입어 지난 6월 1년 만에 법정관리를 졸업하게 됐다. 하지만 영화엔지니어링은 국내 최대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의 ‘아픈 손가락’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앞서 2011년 신한금융투자, 신한캐피탈이 조성한 PE인 코에프씨신한프런티어와 IBK 옥터스PE가 투자한 플랜드업체 일성 역시 투자 한 지 1년도 되지 않아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2011년 당시 대신증권과 흥국투신이 공동 운용한 블라인드형 PE인 ‘대신흥국제1호’가 투자한 발전설비·해양·석유화학 설비제조업체 세대에너텍도 수익성 악화로 지난해 4월 전주지방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고, 최근 매각 작업에 나섰다. ‘대신흥국제1호’는 2011년 세대에너텍 우선주 지분 20.54%를 인수했고, 2013년 절반 가량 회수해 현재 11.45% 규모를 보유하고 있다.

진대제 전 정보통신부 장관이 이끄는 스카이레이크인베스트먼트도 투자 기업이 법정관리로 손실을 입었다. 스카이레이크는 지난 2010년 2320억원 규모로 조성한 '코에프씨 스카이레이크 그로쓰 챔프 2010의5호' 펀드로 옵티스에 150억원을 투자했다.

옵티스는 광디스크 저장장치(ODD)와 스마트폰 카메라모듈, 이어폰·스피커 등을 생산하는 업체로, 지난해 5월 서울중앙지법 파산부(현 회생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지난 6월 27일 회생법원으로부터 법정관리 조기 종결을 허가 받았지만, 2026년까지 10년간 1204억원(관계사 포함)의 부채를 분할 상환해야 한다.

일각에선 자본시장에서 입김이 커진 사모펀드들이 한 치 앞도 내다보지 못하고 투자자들의 자금을 마구 굴렸다는 평가까지 나오고 있다.


연기금 고위 관계자는 “기업 경영권이나 지분을 인수한 이후 기업 가치를 높여 되파는 사모펀드들이 본업을 망각한 것 같다”며 “사모펀드에 대한 대내외 관심이 커가는 과도기적 국면에서 사모펀드들 스스로도 좀 더 철저한 업황 분석과 부실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강구귀 기자

fnSurvey